‘알바’ 광주 청소년 10명 중 3명, 최저임금도 못 받아

‘알바’ 광주 청소년 10명 중 3명, 최저임금도 못 받아

입력 2017-09-26 11:24
수정 2017-09-26 1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욕설·폭행 피해 경험 10.3%, 성적폭력 피해도 4% 달해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광주 청소년 10명 중 3명 이상이 최저임금에도 못 미친 급여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10명 중 7명 가까이가 근로계약서도 작성하지 않고 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광주시 청소년노동인권센터가 지역 중·고생, 대안교육기관 및 청소년 단체 등 모두 2천797명을 대상으로 노동실태조사를 한 결과 34.0%가 최저임금에 못 미치고 68.9%는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다.

전국 평균 최저임금 미지급(25.8%)과 근로계약서 미작성(59.3%) 비율과 비교해 8.2%포인트, 9.6%포인트 높다.

일하면서 욕설이나 폭행을 당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10명 중 1명꼴(10.3%)로 조사됐다.

성희롱. 성폭력 등 성적 피해를 본 청소년도 4%에 달했다.

일하다 다친 경험은 20.2%였으며 산재보험처리를 한 경우는 10.7%에 그쳤다.

아르바이트 목적으로 77.5%가 돈을 벌기 위해, 10.6%는 사회경험을 위해서라고 답했다.

번 돈에 대한 사용처로 취미활동(32.2%), 물건구입(20.4%), 생활비 충당(13.8%), 대인관계(11.7%), 부모님께 드린다(8.5%) 순이었다.

부당대우 때 대처 행동으로 그만두거나 참고 일했다가 36.3%와 30.8%였으며 방법을 몰라 아무것도 못 했다는 7.7%로 대부분 청소년이 수동적인 대처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소년 노동인권교육의 필요성에는 92.7%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나 실제 교육을 받은 청소년은 17.3%에 불과했다.

가장 많이 일하고 있는 직종은 음식점(42.4%), 편의점(11.9%), 전단지 배부(9.9%), 카페(4.1%) 순이었다.

광주시청소년인권센터 이승희 센터장은 “청소년 노동이 순간적인 용돈 벌이가 아닌 우리 사회의 필요노동을 담당하는 한 축이라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며 “청소년 권리침해 시 보호받을 수 있는 구 단위 청소년알바지킴이센터를 확대, 설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