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 팀 셔록 ‘全 회고록’ 비판
美 직접 군사개입 방안 협의 특종… 市에 준 기밀 해제 문서 분석 나서5·18 민주화운동 관련 미국 정부 문서로 기밀 해제된 ‘체로키 파일’을 광주시에 기증한 미국 저널리스트 팀 셔록(66)은 4일 전두환 전 대통령이 회고록에서 ‘자신도 5·18의 피해자’라고 밝힌 대목을 두고 “본인의 행동을 합리화하기 위한 어불성설로, 당시 모든 군인들은 그의 통제 아래 있었다”고 비판적으로 해석했다. 셔록은 이날 5·18 민주화운동기록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전두환씨의 회고록’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같이 말했다.
![5·18 민주화운동 당시 미국 국무성의 한국 담당 비밀대책팀과 전두환 신군부 사이에 오간 비밀 통신기록을 폭로했던 미국 언론인 팀 셔록이 윤장현(왼쪽) 광주시장과 4일 광주 5·18 민주화운동기록관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광주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4/04/SSI_20170404183444_O2.jpg)
광주 연합뉴스
![5·18 민주화운동 당시 미국 국무성의 한국 담당 비밀대책팀과 전두환 신군부 사이에 오간 비밀 통신기록을 폭로했던 미국 언론인 팀 셔록이 윤장현(왼쪽) 광주시장과 4일 광주 5·18 민주화운동기록관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광주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4/04/SSI_20170404183444.jpg)
5·18 민주화운동 당시 미국 국무성의 한국 담당 비밀대책팀과 전두환 신군부 사이에 오간 비밀 통신기록을 폭로했던 미국 언론인 팀 셔록이 윤장현(왼쪽) 광주시장과 4일 광주 5·18 민주화운동기록관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광주 연합뉴스
광주 연합뉴스
셔록은 1980년 5·18 당시 미 국무부와 주한 미대사관이 주고받은 비밀전보를 1996년 폭로해 미국 정부의 역할을 밝혀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미 정부가 5·18 당시 전 전 대통령의 군 투입 계획을 승인했으며, 백악관 회의에서 사태가 통제 불능이 될 경우 미국이 직접 군사 개입하는 방안도 협의됐다는 내용을 특종 보도했다.
‘체로키 문서’는 1979∼1980년 당시 미국 국무부와 주한 미국대사관이 주고받은 전문과 미 국방부 및 중앙정보부 기밀문서 등이 포함됐다. 지미 카터 당시 미국 대통령의 한국 담당 비밀대책팀과 전두환 신군부 사이에 오간 비밀 전문도 있다. 그는 체로키 문서를 낱낱이 분석해 다음달 29일 광주시에 보고서를 제출한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17-04-0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