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자 때 발생한 3차례 강진…일선학교들 대피 안하고 ‘열공’

야자 때 발생한 3차례 강진…일선학교들 대피 안하고 ‘열공’

입력 2016-09-30 10:21
수정 2016-09-30 10: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충북 일반고 55곳 중 24곳만 규모 5.8 본진 때 대피·귀가 조치지진 대응 매뉴얼 없었던 탓…도교육청도 초기 대응 지시 미흡

경북 경주에서 한반도 최대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야간자율학습 중이던 학생들을 대피·귀가 조처한 학교들이 그리 많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진 관련 매뉴얼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탓이다.

일주일 뒤 규모 4.5의 여진이 발생했을 때 비로소 대피·귀가를 결정한 학교가 눈에 띄게 늘었다.

30일 충북도교육청에 따르면 야간자율학습을 하는 도내 55개 일반계 고등학교의 경주 지진 대응 현황을 취합한 결과 지난 12일 오후 7시 44분 규모 5.1의 전진이 발생했을 때 20% 11개교만 학생들을 운동장으로 대피시키거나 귀가하도록 했다.

48분 뒤인 8시 32분 사상 최대인 규모 5.8의 본진이 발생했을 때에도 24곳(43.6%)만 학생들을 대피·귀가 조처했다.

건물이 흔들리고 몸이 떨리는 등 대부분 지진동을 느꼈는데도 정상적으로 자율학습을 진행한 곳이 많았다는 뜻이다.

학교 현장에서 지진 대응 체계의 난맥상이 드러난 셈이다.

도교육청도 부분적으로 비상 연락망을 가동, 학생 대피·귀가 등을 유도했으나, 일사불란한 초기 대응 지시를 하지는 못했다.

한국이 더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이 확인되고 거듭되는 여진으로 불안감이 확산한 상황에서 지난 19일 오후 8시 33분 규모 4.5의 여진이 발생했고, 이때 35개교(64.8%)가 학생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거나 집으로 돌려보냈다.

야간자율학습을 정상 진행한 한 학교는 “내진 설계된 최신식 건물이라 진동을 약하게 껴 대피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도교육청은 본진 발생 이후 초기 대책회의 개최, 비상대책반 가동, 학교·산하기관 대응 지시 등 초기 대응 조치를 강화하는 내용의 대책을 발표했다.

또 학부모들의 의견을 들어 수학여행 계획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라고 각급 학교에 긴급 지시했다.

올해 2학기에 경주로 수학여행을 계획했던 도내 45개 학교 중 42곳이 여행 취소, 행선지·시기 변경, 소풍 대체 등 방법으로 경주행을 포기했고, 3곳은 경주 수학여행 일정을 연기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재난(지진) 대응에 문제점을 노출해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마련한 뒤 선진국 사례를 찾아 업데이트하는 중”이라며 “내년 3월 이전에 지진 대비 위기대응 매뉴얼을 학교 현장에 보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