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 떠돌던 지진 괴담이 현실이 됐잖아요. 더 큰 지진이 올 것 같아 겁납니다.”
지난 19일 경북 경주에서 또 규모 4.5짜리 여진이 발생했다. 주민들의 불안감은 점점 커지고 있다. 부산에서 회사를 다니고 있는 박모(44)씨는 20일 “대규모 지진설이 인터넷 괴담인 줄로만 알았는데 진짜 지진이 났다. 더 큰 지진도 날 수 있는 것 아니냐”면서 “어젯밤 또 지진을 겪고 나서 비상식량, 생수, 손전등, 외투, 담요 등으로 ‘비상 배낭’을 꾸려놔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아침까지 부산에는 27차례의 여진이 이어졌다. 주민들은 밤새 지진 공포에 시달렸다. 부산소방안전본부는 밤새 2600여 건의 119 신고전화가 걸려왔다고 밝혔다. ‘집이 강하게 흔들렸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 하는 지진 대처·대피요령을 묻는 전화가 대부분이었고 ‘강한 흔들림 현상을 또 느꼈는데 지진이 맞느냐?’는 지진 감지 신고전화도 있었다.
부산 해운대구에 고층 아파트 주민 김모(76·여)씨는 “어젯밤에 밤 손자들과 식사를 하다가 전등이 흔들리는 정도의 여진을 느겼다”면서 “고층이라 아이들을 데리고 대피하기도 어렵다는 생각에 밤새 잠을 이루지 못했다”고 말했다.
부산 남구 대연동에 사는 이모(33·여)씨도 “지진을 느끼고 아파트에서 무작정 아이들을 데리고 학교 운동장으로 뛰쳐나갔다”며 “여진이 올까 봐 겁이 나 아이들과 바깥에 머물다가 자정이 다 돼서야 집에 들어갔다. 밤새 무섭다는 아이들을 달래야 했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지난 19일 경북 경주에서 또 규모 4.5짜리 여진이 발생했다. 주민들의 불안감은 점점 커지고 있다. 부산에서 회사를 다니고 있는 박모(44)씨는 20일 “대규모 지진설이 인터넷 괴담인 줄로만 알았는데 진짜 지진이 났다. 더 큰 지진도 날 수 있는 것 아니냐”면서 “어젯밤 또 지진을 겪고 나서 비상식량, 생수, 손전등, 외투, 담요 등으로 ‘비상 배낭’을 꾸려놔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아침까지 부산에는 27차례의 여진이 이어졌다. 주민들은 밤새 지진 공포에 시달렸다. 부산소방안전본부는 밤새 2600여 건의 119 신고전화가 걸려왔다고 밝혔다. ‘집이 강하게 흔들렸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 하는 지진 대처·대피요령을 묻는 전화가 대부분이었고 ‘강한 흔들림 현상을 또 느꼈는데 지진이 맞느냐?’는 지진 감지 신고전화도 있었다.
부산 해운대구에 고층 아파트 주민 김모(76·여)씨는 “어젯밤에 밤 손자들과 식사를 하다가 전등이 흔들리는 정도의 여진을 느겼다”면서 “고층이라 아이들을 데리고 대피하기도 어렵다는 생각에 밤새 잠을 이루지 못했다”고 말했다.
부산 남구 대연동에 사는 이모(33·여)씨도 “지진을 느끼고 아파트에서 무작정 아이들을 데리고 학교 운동장으로 뛰쳐나갔다”며 “여진이 올까 봐 겁이 나 아이들과 바깥에 머물다가 자정이 다 돼서야 집에 들어갔다. 밤새 무섭다는 아이들을 달래야 했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