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지방공무원 2천531명 징계…전체의 0.89%

작년 지방공무원 2천531명 징계…전체의 0.89%

입력 2013-09-21 00:00
수정 2013-09-21 10: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에 지방공무원 중 0.89%인 2천531명이 징계를 받았다.

20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작년 지방공무원 중 징계인원은 2천531명으로 재작년(2천705명)에 비해 다소 감소했다.

일반직·특정직·기능직·별정직 모두 징계인원이 줄었지만, 계약직은 소폭 늘었다.

징계종류별로는 경징계인 견책이 1천392건으로 가장 많았고, 감봉(688명)과 정직(348명)이 뒤를 이었다. 중징계인 파면은 33명, 해임은 41명, 강등은 29명이었다.

비위유형별로는 품위손상이 57.5%인 1천455명이었고 직무유기 및 태만이 12.7%인 321명, 복무규정 위반이 7.9%인 201명, 금품수수가 7.7%인 194명 순이었다.

지방자치단체별 현원 대비 징계인원을 의미하는 징계비율은 전북이 1.59%로 가장 높았고 경기가 1.31%, 충남이 1.10%, 경남이 1.09% 등이었다.

세종시(0.31%), 대전(0.36%), 서울(0.48%), 울산(0.49%)은 징계비율이 낮은 축에 속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