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아파트 등 대규모 단지 자가소유자와 정보접근 차별
‘자기집 입주, 전세 입주, 시프트 가운데 어디에 해당하십니까. 밝히지 않으면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서울 서초구 반포동 B아파트의 입주민 카페 운영진은 회원 가입 요건으로 소유관계 등을 명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포털 캡처 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8/29/SSI_20130829012601.jpg)
포털 캡처 사진
![서울 서초구 반포동 B아파트의 입주민 카페 운영진은 회원 가입 요건으로 소유관계 등을 명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포털 캡처 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8/29/SSI_20130829012601.jpg)
서울 서초구 반포동 B아파트의 입주민 카페 운영진은 회원 가입 요건으로 소유관계 등을 명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포털 캡처 사진
포털 캡처 사진
아파트 주민의 정보 공유와 친목 도모를 위해 만들어진 온라인 입주민 카페에서 자가 소유와 전·월세에 따라 정보 접근을 차별하는 행위가 공공연하게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 일대와 경기 화성 동탄, 김포 한강 등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새롭게 들어선 신도시에서 이런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다.
서울신문이 28일 서울 강남의 주요 아파트 입주민 카페를 확인한 결과, 높은 매매 가격과 전셋값으로 유명한 서초구 반포동의 A아파트는 카페 신청자뿐만 아니라 부동산 등기부등본의 소유주, 재건축 당시 조합원 유무, 일반 분양에 따른 입주 등 세세한 정보를 요구했다.
인근 B아파트는 입주 유형과 함께 직업과 업종, 재직하고 있는 기업 이름까지 상세하게 밝히도록 했다. 이 같은 정보를 공개하지 않으면 입주민 카페에 가입할 수 없다.
아파트 시세 등 상대적으로 민감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광고·홍보 관련 글을 올릴 수 있는 게시판에 자가 소유의 입주민만 정회원으로 등록시킨 ‘얌체 카페’도 확인됐다.
지난 5월 동탄 신도시에 위치한 C아파트에 전세로 입주한 최모(36·여)씨는 최근 입주민 카페의 홍보 게시판에 글을 올렸다가 ‘준회원은 홍보 금지이니 글을 내리라’는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해당 게시판은 입주민들이 중고 물품을 거래하거나 자신이 운영하는 가게 등을 홍보할 수 있는 곳이었다.
최씨는 “카페에 가입하는 것만 해도 한 달 넘게 걸렸는데 막상 가입이 되고 나서도 글을 쓰거나 읽을 수 있는 권한이 제한돼 상처를 받았다”고 씁쓸해했다.
입주민 카페 운영진과 자가 소유의 아파트 주민들은 민감한 정보를 공유할 때가 많아 어쩔 수 없다고 항변한다. 경기 용인시 수지지구 D아파트의 입주민 카페 운영자 김모(42·여)씨는 “상점 홍보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 계약서 사진을 받는 등 카페 가입 절차를 까다롭게 하고 있다”면서 “자가 소유주와 전세 입주자의 카페 등급을 나누거나 카페 게시판을 자가 소유주인 정회원만 이용하도록 하는 것은 집값의 등락이나 전셋값 수준 등 서로 관심사가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3-08-2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