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대 남편·80대 언니… “더 늦기 전에 만났으면” “편지라도 정기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게 해달라”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접촉에 동의함에 따라 3년 만에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 좀처럼 주어지지 않았던 상봉 기회에 심신이 지쳤던 이산가족들은 “남겨진 가족의 생사라도 확인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며 설레는 마음을 조심스레 내비쳤다.다리를 다쳐 1년 6개월 동안 병상에 누워 있는 김효원(86·여·부산 초량동)씨는 22일 “고향이 평양인데 대동강을 건넌 지 66년”이라면서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김씨는 “의사였던 남편을 북한 군이 데려갔다. 당시 세 살 난 아들을 데리고 쫓기듯 강을 건넜다”며 “살아만 있으면 언제든 만날 거라고 생각했는데 생사조차 모르고 세월만 흘렀다”며 탄식했다. 그는 “살아 있으면 올해 91세가 됐을 남편을 더 늦기 전에 꼭 만나게 해 달라”고 몇 번이고 당부했다.
20년 전 상봉 신청을 했지만 아직까지 기회를 얻지 못했다는 고하자(81·여)씨는 “이제 나이가 많이 들었으니 기회가 오지 않겠느냐”면서 “북에 두고 온 친언니를 꼭 만났으면 좋겠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일주일 내내 이산가족 관련 뉴스만 챙겨 봤다는 고씨는 “60년이 훌쩍 넘어 혹시 (언니가) 죽었을까봐 겁이 난다”면서 “(상봉 소식에) 기존에 신청한 게 누락되지 않았을까 확인을 하려 한다”고 말했다.
북한에 형제를 두고 온 신모(83·여)씨의 아들 오모(50·경기 성남시)씨는 “그동안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기대를 많이 접은 상태”라면서도 “남북 관계가 다시 해빙되는 것 같아 반갑다”고 말했다. 오씨는 “어머니가 그동안 이산가족 상봉 소식 때마다 얼마나 많은 기대와 절망을 반복하셨는지 모른다”면서 “이번 만남이 또다시 기약 없는 ‘희망 고문’으로 끝나지 않도록 편지라도 정기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길을 만들어 주기 바란다”고 호소했다.
시민단체들도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주영 한국YWCA 홍보출판부장은 “전쟁이 나고 두 세대가 지난 만큼 이산가족의 만남은 더욱 시급하고 절실해졌다”면서 “앞으로 평화 협정을 통해 시민사회가 더욱 활발하게 교류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3-08-2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