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레는 이산가족들

설레는 이산가족들

입력 2013-08-23 00:00
수정 2013-08-23 0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90대 남편·80대 언니… “더 늦기 전에 만났으면” “편지라도 정기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게 해달라”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접촉에 동의함에 따라 3년 만에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 좀처럼 주어지지 않았던 상봉 기회에 심신이 지쳤던 이산가족들은 “남겨진 가족의 생사라도 확인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며 설레는 마음을 조심스레 내비쳤다.

다리를 다쳐 1년 6개월 동안 병상에 누워 있는 김효원(86·여·부산 초량동)씨는 22일 “고향이 평양인데 대동강을 건넌 지 66년”이라면서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김씨는 “의사였던 남편을 북한 군이 데려갔다. 당시 세 살 난 아들을 데리고 쫓기듯 강을 건넜다”며 “살아만 있으면 언제든 만날 거라고 생각했는데 생사조차 모르고 세월만 흘렀다”며 탄식했다. 그는 “살아 있으면 올해 91세가 됐을 남편을 더 늦기 전에 꼭 만나게 해 달라”고 몇 번이고 당부했다.

20년 전 상봉 신청을 했지만 아직까지 기회를 얻지 못했다는 고하자(81·여)씨는 “이제 나이가 많이 들었으니 기회가 오지 않겠느냐”면서 “북에 두고 온 친언니를 꼭 만났으면 좋겠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일주일 내내 이산가족 관련 뉴스만 챙겨 봤다는 고씨는 “60년이 훌쩍 넘어 혹시 (언니가) 죽었을까봐 겁이 난다”면서 “(상봉 소식에) 기존에 신청한 게 누락되지 않았을까 확인을 하려 한다”고 말했다.

북한에 형제를 두고 온 신모(83·여)씨의 아들 오모(50·경기 성남시)씨는 “그동안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기대를 많이 접은 상태”라면서도 “남북 관계가 다시 해빙되는 것 같아 반갑다”고 말했다. 오씨는 “어머니가 그동안 이산가족 상봉 소식 때마다 얼마나 많은 기대와 절망을 반복하셨는지 모른다”면서 “이번 만남이 또다시 기약 없는 ‘희망 고문’으로 끝나지 않도록 편지라도 정기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길을 만들어 주기 바란다”고 호소했다.

시민단체들도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주영 한국YWCA 홍보출판부장은 “전쟁이 나고 두 세대가 지난 만큼 이산가족의 만남은 더욱 시급하고 절실해졌다”면서 “앞으로 평화 협정을 통해 시민사회가 더욱 활발하게 교류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3-08-2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