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서경찰서는 서울 방화대교 남단 인근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상판 붕괴사고와 관련, 1일 시공사 2곳의 관계자 2명을 불러 조사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방화대교 남단 접속도로 공사의 시공사인 금광기업 소속 공사과장 이모(42)씨와 흥륭종합건설 소속 안전과장 김모(40)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현장 안전 관리 및 감독 소홀 여부, 사고 경위 등을 조사했다.
경찰은 이들이 모두 공사 현장에 나와있어야 하는 인사들이며 사고 당시 현장에 있었는지 등 안전관리 문제를 집중 추궁했다고 전했다.
앞서 경찰은 사고 당일인 지난달 30일부터 이틀간 목격자 3명과 생존 근로자 정명덕(63)씨, 공사 책임자인 한백건설 소속 공사과장 김모(33)씨 등 5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경찰은 전날 국립과학수사연구원·서울지방경찰청 과학수사팀과 합동으로 사고 경위와 작업 공정상 문제, 구조물의 결함 여부 등에 대한 현장 정밀 감식을 벌였다. 이번 사고로 숨진 근로자 최창희(52)·허동길(50)씨의 정확한 사인 규명을 위한 부검은 마무리한 상태다.
경찰은 공사 관련 하도급업체와 감리업체, 시행사 등 관계자들을 금명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경찰은 방화대교 남단 접속도로 공사의 시공사인 금광기업 소속 공사과장 이모(42)씨와 흥륭종합건설 소속 안전과장 김모(40)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현장 안전 관리 및 감독 소홀 여부, 사고 경위 등을 조사했다.
경찰은 이들이 모두 공사 현장에 나와있어야 하는 인사들이며 사고 당시 현장에 있었는지 등 안전관리 문제를 집중 추궁했다고 전했다.
앞서 경찰은 사고 당일인 지난달 30일부터 이틀간 목격자 3명과 생존 근로자 정명덕(63)씨, 공사 책임자인 한백건설 소속 공사과장 김모(33)씨 등 5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경찰은 전날 국립과학수사연구원·서울지방경찰청 과학수사팀과 합동으로 사고 경위와 작업 공정상 문제, 구조물의 결함 여부 등에 대한 현장 정밀 감식을 벌였다. 이번 사고로 숨진 근로자 최창희(52)·허동길(50)씨의 정확한 사인 규명을 위한 부검은 마무리한 상태다.
경찰은 공사 관련 하도급업체와 감리업체, 시행사 등 관계자들을 금명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