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5개월 남기고 이상득 검찰 소환 한일정보협정 제동 사찰 국조 잇단 악재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6/30/SSI_20120630005517.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6/30/SSI_20120630005517.jpg)
무엇보다 형님인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이 저축은행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검찰 소환을 눈앞에 두고 있는 상황이 이 대통령으로서는 가장 고심을 키우는 대목이다. 정치멘토로 불리는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핵심 측근인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에 이어 정계 입문 전부터 든든한 버팀목이 돼 주었던 친형 이 전 의원까지 사법처리 선상에 오르게 되면서 ‘도덕적으로 완벽한 정권’이라던 자부심은 한없이 구겨지게 됐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29일 “뭐라고 할 말이 없다. (진행상황을) 답답하게 지켜보고 있을 뿐이다.”라고 말했다. 다른 핵심관계자는 “모양새뿐 아니라 시기도 나쁘다. 여러모로 힘든 시기를 맞았다.”고 털어놨다.
29일 오후 4시로 예정됐던 서명을 전격 연기하긴 했지만, ‘밀실처리’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한·일정보보호협정도 예상치 못한 또 다른 악재다. 국회 논의 절차도 생략한 채 비정상적으로 일정을 서두른다는 여론의 뭇매를 맞으면서 일단 한 걸음 물러서긴 했지만, 청와대가 이번 사안을 처음부터 주도했다는 지적과 함께 여전히 진행 중인 사안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임기 말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적잖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부처와 관련된 사안은 청와대와 협의하는 것이 당연하며, 협정 내용은 양국 간 비공개로 하기로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권재진 전 민정수석, 김진모 전 민정2비서관, 장석명 공직기강 비서관 등 청와대 전·현직 핵심관계자들이 직접적으로 연루된 민간인 불법사찰 의혹이 여야 공방 끝에 결국 국정조사를 실시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힌 것도 메가톤급 후폭풍을 몰고 올 수 있는 사안이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2012-06-30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