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주여성 “고마워요 다누리 콜센터”

결혼이주여성 “고마워요 다누리 콜센터”

입력 2012-06-20 00:00
수정 2012-06-20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운영 1주년… 이용자 2만명 넘어

#1. 2011년 7월의 어느 날. 한 산부인과에서 전화가 걸려왔다. 수화기 너머 의사의 목소리는 다급했고, 고통스러운 듯한 신음이 쉴 새 없이 이어졌다. 한국말을 할 줄 모르는 결혼이주여성의 산통이 시작된 것. 의사는 산모에게 호흡법을 알려주기 위해 긴급 전화를 걸었고, 이주여성과 대화를 할 수 있는 상담원을 통해 아이를 안전하게 낳을 수 있었다.

#2. 필리핀에서 한국으로 시집 온 A씨는 세탁기를 사용하던 중 빨래가 잘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세탁기 뚜껑을 열었다. 하지만 이내 세탁기가 멈췄고, 당황한 A씨는 세탁기 사용 설명서를 찾아봤지만, 한글을 알지 못해 발만 동동 구르다 도움의 전화를 걸었다. 상담을 통해 고장 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됐고, 안내에 따라 세탁기를 다시 가동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혼이주여성의 좌충우돌 한국 정착기는 모두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생활을 돕기 위한 ‘다누리 콜센터’(1577-5432)에 걸려온 실제 상담 사례다. 지난해 6월 20일 여성가족부와 포스코가 민·관 협력 사업으로 시작한 다누리 콜센터가 운영 1주년을 앞두고 이용자 2만명을 넘어섰다. 콜센터는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이 위탁운영하고 있다.

19일 여가부에 따르면 지난 1년간 다누리 콜센터를 이용한 상담건수는 모두 2만 48건으로 이용자의 출신 국가를 살펴보면 베트남(67%), 중국(14.2%), 몽골(4.8%)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콜센터는 지원관리 인력 3명 외에 베트남, 몽골, 캄보디아, 러시아, 일본, 중국 등 국가별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결혼이주여성 등 10명이 지원상담을 담당하고 있다.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10명의 상담원이 근무하며, 오후 6시 이후에 걸려오는 전화는 24시간 운영되는 ‘이주여성 긴급지원센터’로 자동 연결된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2012-06-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