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은 취임 직후부터 ‘현장의 목소리’를 강조하며 ‘경청정책 투어’를 진행했다. 더불어 집무실에서도 국내외 전문가들을 만나 시정에 대한 고민을 나눴다. 이런 만남의 상당수는 비공개로 진행됐지만 방문자들은 집무실에 비치된 방명록에 흔적을 남기고 갔다. 지난해 박 시장 집무실에는 어떤 사람들이 찾아왔고, 그들은 어떤 메시지를 남겼을까.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 이후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왼쪽), 권영걸 서울대 교수(가운데), 첫 일일시민시장을 지낸 임은선씨(오른쪽) 등 여러 방문자들이 저마다 독특한 서명을 남겨 눈길을 끈다.
4일 서울시에 따르면 박 시장 취임 직후부터 현재까지 집무실 방명록에는 총 33건의 방문자 서명이 남아 있다. 대부분은 박 시장이 초청한 경우로 ‘박원순호’의 시정 고민과 연결된 인사들이다.
가장 눈에 띄는 사람은 지난해 11월 방문한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다. 서예작품 ‘처음처럼’으로 유명한 신 교수는 방명록에 특유의 멋스러운 글씨체로 ‘함께 여는 새날’이라는 문구와 함께 교집합을 뜻하는 수학 기호를 남겼다.
신 교수가 남긴 메시지와 기호는 박 시장이 강조하는 ‘시민과 함께하는 서울’ 기조와도 어울린다.
박 시장이 동절기 노숙인 대책으로 고민하고 있던 지난달에는 일본 노숙인 정책 전문가들이 대거 방문했다. 오사카시립대학 도시연구플라자 전홍규 교수와 사노 쇼지 빅이슈 일본판 발행인, 홈리스 지원 네트워크 관계자들은 방명록에 이름만 간단히 남겼다.
권영걸 서울대 교수의 방문도 눈에 띈다. 권 교수는 오세훈 전 시장의 핵심 정책인 디자인서울 사업을 총괄했던 인물로 박 시장은 기존 서울시 도시 정책의 기조를 이해하기 위해 그를 만났다. 권 교수는 방명록에 ‘기원 일취월장’이라는 힘있는 필체의 한자를 남겼다.
일반 시민들의 메시지도 많다. 세 아이의 엄마로 첫 일일 시민시장을 지낸 임은선씨는 “아이들을 위해 상식이 통하는 사회를 만들 초석을 만들어 주세요.”라고 썼다. 조선족연합회, 사할린 한인 동포 대표, 학생 시민 대표 등도 찾아왔다.
또 일본 정계 거물인 센고쿠 요시토 민주당 정책조사회장 대행, 데이비드 코스 미국 뉴멕시코주 산타페 시장, 앤드루 몬탁 아일랜드 더블린 시장 등 각국 시장도 흔적을 남겼다. 김우영 은평구청장과 김용석 한나라당 시의원도 서명을 남겼다.
시는 박 시장 취임 이후 지난해 말까지 내부 공무원을 뺀 집무실 방문자를 400~500명으로 추산했다. 외빈을 제외하면 뉴타운, 재개발 문제 등 그동안 서울시가 품고 있던 ‘악성 민원’ 관계자들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비서실 관계자는 “박 시장은 집무실에 있기보다는 현장 방문 등 외부 활동이 많은 편”이라며 “하지만 전에는 민원인들이 집무실을 직접 방문한 일이 거의 없어 집무실 방문자 수가 과거보다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