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역사교과서 검정 왜곡 분석 심포지엄
지난 3월 30일 일본 문부과학성의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 검정 결과 발표 이후, 일본 측의 일방적인 역사왜곡에 국내 여론은 들끓었다. 이후 두 달여 만에 일본 역사교과서 검정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일본의 역사인식에 대한 학술적 분석 및 그 실체를 규명하는 자리가 마련됐다.첫 번째 발표를 맡은 이신철 성균관대 교수는 “2011년 검정을 통과한 교과서는 정부 주도의 역사왜곡이 심화됐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역사적 사실과 전혀 다른 기술을 한 지유샤·이쿠호샤판 교과서가 통과되는 등 애국심이 강조되고, 영토야욕이 노골화됐다.”면서 “아시아태평양전쟁을 ‘아시아해방전쟁’, ‘대동아전쟁’ 등으로 미화하거나 전체 교과서에 위안부에 대한 내용이 삭제되는 등 내용 면에서 심각한 후퇴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어 “2001년부터 일본 내에서 ‘극좌교과서’로 공격받았던 일본서적신사의 교과서는 도산으로 아예 검정신청도 하지 못했다.”면서 “이는 일본 전반의 교과서 서술이 얼마나 후퇴했는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라고 짚었다.
은정태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은 ‘일본의 한국 강제병합 관련 서술 분석’을 통해 한국 강제합병에 대한 지유샤·이쿠호샤 등 두 우익교과서의 왜곡된 서술을 중점적으로 지적했다. 은 연구원은 “2001~2009년 ‘일본정부는 일본의 안전과 만주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한국의 병합이 필요하다’고 서술한 것을 2011년도 교과서에서 ‘일본정부는 일본의 안전과 만주의 권익을 방위하기 위해 한국의 안정이 필요하다’고 바꿨다.”고 지적했다. 은 연구원은 이어 “안중근에 대한 기술도 독립운동가·민족운동가가 일반적이지만, 두 우익 교과서에서는 각각 운동가와 청년이라고 지칭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심포지엄에서는 일제강점기 서술에 대한 문제점도 드러났다. 신주백 연세대 교수는 발표에서 “지유샤·동경서적 등 출판사에서는 일제강점기를 ‘근대화’로 표현해 식민지배를 정당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1-05-21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