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가 특정 학생들의 중간고사 답안지를 고쳐 준 동영상이 공개되자 학부모와 학생들은 “공교육에 배신감을 느낀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최미숙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 상임대표는 “교사의 그런 행위가 학생의 인생을 완전히 바꿔 놓을 수 있는 것 아니냐.”면서 “정답이든 아니든 그렇게 몇몇 아이들만 불러서 수정하는 것 자체가 매우 잘못된 일”이라고 지적했다.
고교 3년생 자녀를 둔 정수연(46·여)씨는 “학부모라면 누구나 그 교사가 해당 학생의 학부모로부터 대가를 받았다고 여길 것”이라면서 “내신점수 1~2점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아이들의 마음이 병들까 봐 걱정된다.”고 말했다.
학생들의 시선도 싸늘했다. 비봉고 한 학생은 “엄격하게 평가하면 오답 처리가 될 수도 있는 문제를 교사의 지시로 고쳐 정답으로 처리하면, 결국 피해는 다른 학생이 입는 것 아니냐.”면서 “우리 학교뿐이겠느냐.”고 말해 공교육에 강한 불신감을 드러냈다.
교육 전문가들의 지적도 다르지 않았다. 성기선 가톨릭대 교육대학원 교수는 교육 현장에서 지켜야 할 룰을 깨뜨린 행위라고 지적했다. 성 교수는 “학교에는 객관성, 합리성, 능력주의라는 가치와 온정·인간주의라는 상반된 가치가 동시에 작동한다.”면서 “학생들을 평가할 때는 엄격하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야 하고, 학생들이 마음의 상처를 받았을 때는 온정적으로 다뤄야 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특히 시험은 온정주의를 배제, 객관적·합리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교육의 근간이 무너지게 된다.”고 말했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최미숙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 상임대표는 “교사의 그런 행위가 학생의 인생을 완전히 바꿔 놓을 수 있는 것 아니냐.”면서 “정답이든 아니든 그렇게 몇몇 아이들만 불러서 수정하는 것 자체가 매우 잘못된 일”이라고 지적했다.
고교 3년생 자녀를 둔 정수연(46·여)씨는 “학부모라면 누구나 그 교사가 해당 학생의 학부모로부터 대가를 받았다고 여길 것”이라면서 “내신점수 1~2점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아이들의 마음이 병들까 봐 걱정된다.”고 말했다.
학생들의 시선도 싸늘했다. 비봉고 한 학생은 “엄격하게 평가하면 오답 처리가 될 수도 있는 문제를 교사의 지시로 고쳐 정답으로 처리하면, 결국 피해는 다른 학생이 입는 것 아니냐.”면서 “우리 학교뿐이겠느냐.”고 말해 공교육에 강한 불신감을 드러냈다.
교육 전문가들의 지적도 다르지 않았다. 성기선 가톨릭대 교육대학원 교수는 교육 현장에서 지켜야 할 룰을 깨뜨린 행위라고 지적했다. 성 교수는 “학교에는 객관성, 합리성, 능력주의라는 가치와 온정·인간주의라는 상반된 가치가 동시에 작동한다.”면서 “학생들을 평가할 때는 엄격하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야 하고, 학생들이 마음의 상처를 받았을 때는 온정적으로 다뤄야 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특히 시험은 온정주의를 배제, 객관적·합리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교육의 근간이 무너지게 된다.”고 말했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1-05-13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