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자 예일대교수 ‘카이스트 사태’ 제언
“개혁을 하더라도 많은 토론을 거쳐 점진적으로 해야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4/13/SSI_20110413013608.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4/13/SSI_20110413013608.jpg)
→카이스트 학생들의 학습 강도가 논란이 되고 있다. 예일대는 학생들에게 공부를 어느 정도 시키나.
-대부분 4~5시간씩, 많아도 6~7시간 자면서 공부한다. 숙제가 엄청나게 많고 거의 매주 시험이라 부담도 엄청나다. 대신 주말에는 파티도 하고 열심히 놀면서 스트레스를 푼다.
→미국 명문대생들도 자살하는 경우가 많나.
-5~6년에 한번꼴로 자살 소식이 있는 것 같다. 지난해 박사과정을 밟던 한국 유학생이 예일대에서 자살한 사건도 있었다. 하지만 여기서는 대부분 자살 원인을 학업보다는 우울증으로 보는 편이다. 예일대에 입학할 정도면 학업 부담을 따라갈 수 있는 학생이라고 본다.
→특히 카이스트가 도입한 전 과목 영어 강의를 놓고 의견이 분분한데.
-점진적으로 할 수 없는지 아쉽다. 예컨대 영어 강의를 1학년 때는 30%만 하고, 2학년 때는 40% 하고, 4학년 때쯤 80% 한다든가 하는 식으로 한다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지 않을까.
→카이스트의 징벌적 등록금 제도도 논란인데.
-예일대는 성적과 돈을 연결짓지 않는다. 장학금은 학생의 집안형편에 따라 지급한다. 학생을 뽑을 때는 집안형편을 보지 않고 순전히 성적만 본다. 하지만 입학한 뒤에는 집안이 어려운 학생한테 장학금을 우선 지급한다. 부모의 연소득이 약 18만 달러를 넘는 부유층은 장학금을 받지 못한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1-04-1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