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난 속 평균 13.3%↑…1인당 지급액 225만9천원
서울시내 자치구들이 재정난을 호소하면서도 올해 직원들이 돈처럼 쓸 수 있는 ‘선택적 복지비(복지포인트)’를 대폭 인상해 논란이 예상된다.선택적 복지제도는 근무 연수나 부양가족 수에 따라 공무원에 포인트를 준 뒤 연금매장이나 병원, 피트니스클럽 등에서 물건을 구입하고 영수증을 제출하면 포인트에 맞춰 현금으로 계산해주는 제도다.
11일 서울시와 자치구에 따르면 올해 시내 25개 자치구의 선택적 복지비는 총 765억원으로 지난해 675억원보다 13.3%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 직원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지난해 208만1천원(2천81포인트)에서 올해 약 225만9천원(2천259포인트)으로 올랐다.
특히 이 같은 액수는 행정안전부가 2009년의 632억원(1인당 1천910포인트) 수준으로 관련 예산을 동결하도록 지시했음에도 불구하고 2년간 무려 21%를 인상한 것이다.
직원 1인당 선택적 복지비가 가장 많은 자치구는 용산구로 연간 242만9천원이며, 이어 영등포구(242만1천원), 중구(241만4천원) 순이었다.
반면 서대문구는 202만8천원으로 용산구보다 40만원 정도 적어 자치구 간에 최고 20% 수준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대비 인상률을 보면 동작구가 1천642포인트에서 2천36포인트로 2년 사이 47% 올랐으며, 동대문구가 1천800포인트에서 2천320포인트로 34%, 도봉구가 1천807포인트에서 2천215포인트로 28%가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2009년 이래 1인당 지급 포인트를 1천730포인트 수준으로 동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올해 자치구 예산운용 계획에 따르면 7개 자치구에서 콘도 회원권 31구좌를 구입하는데 9억6천700만원의 예산을 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자치구가 보유한 콘도미니엄 회원권, 수련원 등의 휴양시설은 모두 1천419실 규모로, 직원 21명당 1실을 보유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이 중 콘도미니엄 회원권은 모두 940구좌로, 재정자립도가 27.7%로 가장 낮은 노원구가 52구좌, 29.7%로 두번째로 낮은 은평구가 42구좌를 보유하는 등 재정 상황이 열악한 일부 자치구도 콘도 회원권을 다수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관계자는 “재정자립도가 낮으면서도 정부 방침에 반해 무리하게 복지포인트를 인상한 측면이 있다”며 “콘도회원권 보유량을 늘리는 등 방만하게 예산을 운용하면 시민의 비판에 직면할 수 밖에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