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치부 드러나나…대학원생 연구인건비 불만

KAIST 치부 드러나나…대학원생 연구인건비 불만

입력 2011-04-11 00:00
수정 2011-04-1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총학생회 설문…20.3% “연구인건비 받은 적 없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교육과학기술부의 종합감사 결과 연구인건비 등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KAIST 대학원생들의 연구인건비 관련 불만이 상존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KAIST 대학원 총학생회에 따르면 지난해 9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환경 등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20.3%가 연구인건비를 받은 적이 없으며 이들을 포함해 47.8%가 월 40만원 미만의 연구인건비를 받는다고 답했다.

약정됐던 연구인건비 전액을 수령하는 경우는 21.2% 뿐이었으며 나머지는 일명 ‘랩(Lab)비’로 불리는 연구실별 공동예산 등 명목으로 떼이고 있고 특히 43.9%는 자신이 받아야 할 연구인건비가 얼마나 되는지 자체를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실별로 랩비를 조성한다는 대답은 54.4%에 달했으며 9.2%는 랩비에 따른 부당한 피해를 봤다고 답했다.

연구비가 원래 목적 이외의 용도나 사적인 용도로 사용된다고 답한 대학원생도 19.2%에 달했으며 9.9%의 대학원생은 연구비 회수를 통해 비인가 자금을 조성하라는 교수의 요구에 따라야 했던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당시 설문조사에서 일부 대학원생은 “비리를 저지르는 교수가 있고 연구비 집행이나 인건비와 관련해 불합리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학생들의 인건비 등에 대한 교수의 횡령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그것을 당연하게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또 “프로젝트에서 나오는 인건비를 학생들에게서 다 걷어간 뒤 재분배하고 있어 프로젝트를 2개를 하든, 3개를 하든 인건비는 동일하다”며 “외부 강의가 들어오면 자료준비부터 강의까지 학생들에게 떠넘기고는 강의료는 자기가 가져가는 교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