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일야 방성대곡’(是日也 放聲大哭) 논설로 유명한 언론인 장지연 등 친일행위가 확인된 독립유공자 19명에 대한 서훈이 취소됐다.
정부는 5일 오전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영예수여 및 취소안’을 심의, 의결했다. 서훈이 취소된 19명은 장지연과 종교인 김응순, 윤치영 초대 내무부 장관을 비롯해 강영석·김우현·김홍량·남천우·박성행·박영희·유재기·윤익선·이동락·이종욱·이항발·임용길·차상명·최준모·최지화·허영호씨 등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앞으로도 친일 행위가 확인된 독립유공자에 대해서는 서훈을 취소하고, 훈장·포장을 환수한다는 원칙을 마련했다. 국가보훈처는 지난 1996년에도 박연서 목사와 서춘 매일신보 주필 등 5명의 서훈을 박탈한 바 있으며, 이번이 두 번째다.
유지혜기자 wisepen@seoul.co.kr
정부는 5일 오전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영예수여 및 취소안’을 심의, 의결했다. 서훈이 취소된 19명은 장지연과 종교인 김응순, 윤치영 초대 내무부 장관을 비롯해 강영석·김우현·김홍량·남천우·박성행·박영희·유재기·윤익선·이동락·이종욱·이항발·임용길·차상명·최준모·최지화·허영호씨 등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앞으로도 친일 행위가 확인된 독립유공자에 대해서는 서훈을 취소하고, 훈장·포장을 환수한다는 원칙을 마련했다. 국가보훈처는 지난 1996년에도 박연서 목사와 서춘 매일신보 주필 등 5명의 서훈을 박탈한 바 있으며, 이번이 두 번째다.
유지혜기자 wisepen@seoul.co.kr
2011-04-0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