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백신硏 권미나·서상욱 박사팀
국내 연구진이 신종플루 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과정에서 인터페론이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3/10/SSI_20110310021651.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3/10/SSI_20110310021651.jpg)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폐에는 백혈구의 일종인 호중구와 단핵구가 유입된다. 이때 호중구가 과도하게 유입되면 염증이 악화된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에서 인터페론이 부족한 쥐는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뒤 정상적으로 단핵구를 분화시키지 못하는 대신 호중구가 늘어나 심한 염증과 폐조직 파괴에 이르는 것을 확인했다.
권미나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가 항바이러스제 개발에 응용돼 인플루엔자 유행에 대처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03-1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