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단 대부분 현직·여권인사… 파급력 클 듯
‘유상봉 리스트’에 치안감급 이상 경찰 고위 간부 외에 광역단체장과 전·현직 국회의원 등 1000명 이상이 올라 있다는 것은 이미 초대형 게이트로 발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검찰이 확보한 함바 브로커 유상봉씨의 수첩은 박연차게이트를 낳은 ‘여비서 다이어리’와 빼닮았다. 함바게이트가 정·관계에 피를 부르는 제2의 박연차 게이트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죽은 권력을 잡았던 박연차 게이트와 달리 유상봉 리스트에는 여권 인사들이 다수 포함됐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경찰, 시련의 계절](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11/SSI_20110111181944.jpg)
연합뉴스
![경찰, 시련의 계절](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11/SSI_20110111181944.jpg)
경찰, 시련의 계절
강희락 전 경찰청장 등 전·현직 경찰 고위직들이 ‘함바 게이트’에 엮여 조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11일 오후 서울 미근동 경찰청사 주변에 함박눈이 내리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검찰 안팎에서는 유력 인사들의 이름이 적힌 리스트가 나오자 사실상 ‘박연차 리스트’의 복사판으로 여기는 분위기다. 2년 전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의 로비 정황을 담은 ‘박연차 리스트’는 정·관계 인사들의 ‘데스노트’ 역할을 했다. 박 전 회장 수첩에 이름이 오른 유력 인사들은 예외 없이 줄줄이 검찰 조사를 받았고, 상당수의 의혹은 사실로 드러나기도 했다. 그 결과 이광재 강원도지사, 박정규 전 청와대 민정수석, 장인태 전 행정자치부 차관 등 주요 인사들이 구속되기도 했고, 일부는 아직까지 재판을 받고 있다. 하지만 ‘유상봉 리스트’에 의거한 검찰 수사가 본격화될 경우 그 파급력은 박연차 리스트를 훨씬 뛰어넘을 것이라는 게 법조계의 시각이다. 당시 박연차 리스트에는 유력 인사 70여명의 이름이 올라가 있다고 알려졌지만, 결국 검찰 수사는 지난 정권의 ‘죽은 권력’을 향한 것이었다. 당시 일부 여권 인사도 수사 대상에 포함되었으나 ‘구색 맞추기’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반면 유상봉 리스트에 오른 것으로 알려진 국회의원, 지자체장 등은 대부분 현직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 게다가 상당수가 여권 인사로 분류 가능한 사람들이라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향후 정치권 판도 변화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검찰 관계자는 “유씨가 정·관계 인사들과 폭넓은 인맥을 자랑해 관련 의혹은 수시로 쏟아지고 있다.”며 “옥석은 수사 과정에서 계속 가려질 것”이라고 전했다.
강병철·이영준기자 bckang@seoul.co.kr
2011-01-12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