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제주지역에서 갓 심은 양배추가 사상 최고가로 다량 밭떼기로 거래되고 있다.
22일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8월 하순부터 양배추 아주심기(정식)에 들어간 가운데 제주시 애월·한림,구좌 등 양배추 주산지에 내년 채소값이 오를 것으로 예상해 미리 양배추를 밭떼기로 사려는 중간상인들이 무더기로 몰려오고 있다.
지난해는 이 시기에 밭떼기 거래가 거의 없었지만,올해는 8월 하순∼9월 중순 아주심기 한 조생 양배추는 현재 전체 재배면적(420㏊ 추정)의 60∼70%가 밭떼기로 거래된 상태다.
이달 중순부터 아주심기에 들어간 중·만생 양배추도 전체 재배면적(510㏊ 추정)의 10% 정도가 밭떼기로 거래되는 등 전에 없던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밭떼기 거래가격도 3.3㎡당 7천∼8천원으로 지난해 1천500∼2천원과 비교해 무려 4배 가까이 높아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올해 태풍과 집중호우 등으로 전국적으로 양배추 등 채소 생산량이 크게 줄 것으로 예상해 중간상인들이 일찌감치 물량 확보에 나서면서 양배추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지역은 2006∼2009년 양배추가 과잉생산돼 도와 주산지 농협이 막대한 예산을 들여 산지 폐기하거나 매취사업을 통해 겨우 해결했었다.
제주도는 지난 6월 농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최근 5년간 평균 재배면적보다 6% 증가한 1천720㏊를 재배할 것으로 예상돼 과잉생산을 우려했었다.
연합뉴스
22일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8월 하순부터 양배추 아주심기(정식)에 들어간 가운데 제주시 애월·한림,구좌 등 양배추 주산지에 내년 채소값이 오를 것으로 예상해 미리 양배추를 밭떼기로 사려는 중간상인들이 무더기로 몰려오고 있다.
지난해는 이 시기에 밭떼기 거래가 거의 없었지만,올해는 8월 하순∼9월 중순 아주심기 한 조생 양배추는 현재 전체 재배면적(420㏊ 추정)의 60∼70%가 밭떼기로 거래된 상태다.
이달 중순부터 아주심기에 들어간 중·만생 양배추도 전체 재배면적(510㏊ 추정)의 10% 정도가 밭떼기로 거래되는 등 전에 없던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밭떼기 거래가격도 3.3㎡당 7천∼8천원으로 지난해 1천500∼2천원과 비교해 무려 4배 가까이 높아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올해 태풍과 집중호우 등으로 전국적으로 양배추 등 채소 생산량이 크게 줄 것으로 예상해 중간상인들이 일찌감치 물량 확보에 나서면서 양배추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지역은 2006∼2009년 양배추가 과잉생산돼 도와 주산지 농협이 막대한 예산을 들여 산지 폐기하거나 매취사업을 통해 겨우 해결했었다.
제주도는 지난 6월 농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최근 5년간 평균 재배면적보다 6% 증가한 1천720㏊를 재배할 것으로 예상돼 과잉생산을 우려했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