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차단 급급·부실 브리핑 분통

취재차단 급급·부실 브리핑 분통

입력 2010-06-12 00:00
수정 2010-06-12 0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재헌기자의 우주센터 3박4일

지난 8~10일까지 3박4일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우주전시장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성급했던 데다 정보 차단에만 목을 매는 당국자들의 비상식적인 언행이 뒤늦게 도마에 오르고 있다. 발사는 실패했지만 우주에 대한 도전은 계속돼야 하기에, 현장에서 일어났던 사례들을 세부적으로 되짚어 봤다.

●“궁금해도 질문은 세 가지만…”

이미지 확대
최재헌 사회부 기자
최재헌 사회부 기자
“KBS가 추락 장면을 촬영해 미리 안 보여줬으면 다음날까지 발사 실패를 알기나 했을까?” 정부의 나로호 발사 실패 브리핑 후 나로호 취재차 전남 고흥 우주센터에 모인 기자들 사이에서 터져 나온 말이다. 나로호 발사 현장에서 만난 관계자들은 지나치게 폐쇄적이었다. 보안을 이유로 발사 현장에서 2㎞ 이상 떨어진 우주전시장 지하에 프레스센터를 설치한 탓에 정작 중요한 발사 장면은커녕 센터 연구원의 얼굴조차 보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현장이 아니라 센터 안에 설치된 TV 방송을 통해 정보를 얻는 일도 다반사였다.

현장 소식을 접할 수 있는 유일한 창구는 하루 1~2차례 있는 대변인 브리핑이었다. 이번 2차 발사 때도 전기장치 오류와, 소방설비 문제로 발사 직전 일정이 2차례나 연기됐지만 그때마다 정부의 설명 과정은 3분을 채 넘기지 않았다.

5000억원의 세금이 들어간 대형 프로젝트일 뿐 아니라 전 국민의 관심이 쏠린 현안을 취재해야 하는 기자로서 발사 현장에서 생긴 문제에 대해 캐물을 수밖에 없지만 어쩐 일인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그리고 나로우주센터 측은 기자들의 질문을 3회로 제한했다. 그래서 기자들 사이에서는 “국민들에게 알려서 안 되는 일이 그렇게 많느냐.”는 불만이 터져나왔다. 공식 브리핑이 끝나면 센터장을 빠져나가는 관계자를 붙잡으려고 기자들 사이에 몸싸움이 벌어지기 일쑤였고, 이 와중에 민경주 센터장은 질문을 하는 기자를 향해 “당신은 나로호가 실패하기를 바라느냐?”며 벌컥 화를 내기도 했다.

이렇게 취재가 제한되다 보니 대부분의 기자들은 상황을 예견하거나 추측해 ‘소설식 기사’를 쓰거나, 발사 현장을 제대로 알 수 없는 외부 전문가를 통해 막연한 추측성 기사를 쓰는 일이 허다했다.

●“모든 상황은 발사에 적합하다”

발사 당일인 10일 “발사 담당 연구원들의 신체 상태를 위해 부득이 발사 시간을 오후로 정한다.”는 통보를 전달받은 기자는 발사 전날 시스템 문제로 2차례나 밤샘작업을 한 연구원들의 건강 상태를 우려해 질문을 건넸다. 하지만 발사 책임을 총괄한 김중현 2차관도, 센터 책임자도 모두 판에 박힌 듯 “모든 상태는 발사에 최적이다. 연구원들도 문제 없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하지만 나로호가 추락한 것으로 밝혀진 10일 늦은 오후, 발사체를 담당하던 30대 연구원 A씨가 과로로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되는 일이 발생했다. 이 사실도 공식적으로는 확인되지 않아 현장 관계자를 통해 들어야 했다. 센터 관계자는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도 막판엔 피곤한 법”이라면서 “모든 발사과정이 컴퓨터로 통제되니 문제 될 것이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종 발사 결정을 내리기 직전까지만 해도 연구원들의 피로도 등을 걱정하던 그들의 태도가 왜 추락 후에 갑자기 변한 것인지 알 수 없다.

goseoul@seoul.co.kr
2010-06-1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