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장표 경제수석 기자간담회
“(미국 보호무역주의 움직임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에 대해) 외교안보적 시각으로 확대해석하거나 상대국에 대한 비우호적 조치로 간주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홍장표 청와대 경제수석)홍장표 경제수석
통상 문제에 관한 한 ‘로키’(low-key)를 유지했던 청와대가 전날 안보와 통상의 분리 대응 의지를 밝히는 등 정면 대응으로 선회하면서 일각의 우려가 확산된 데 따른 것이다.
우려의 본질은 미국이 ‘열쇠’를 쥔 상황에서 분리 대응이 가능하냐는 점이다. 문 대통령으로선 평창동계올림픽 이후 대화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한 북·미 대화 중재와 한·미 통상 문제라는 ‘고차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WTO 제소 검토 등 긁어 부스럼을 만들어 한·미 동맹의 균열을 초래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존재한다.
하지만 미국이 통상 현안을 북·미 대화 등과 연동시켜 협상력을 높이려 할 것이라는 시각에 청와대는 동의하지 않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우리만 ‘투트랙’(안보·통상 분리)이 아니라 미국도 동일하다”면서 “튼튼한 한·미 동맹의 바탕 위에서 국익 극대화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동맹에 대한 문 대통령의 확신이 있었기에 ‘안보·통상 분리 대응’ 카드를 꺼낼 수 있었다는 얘기다. 이어 “교역·투자와 관련해 법적 절차를 밟아 제소하는 게 너무 당연한데, 통상 마찰로 비화시키거나 한·미 관계가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식의 지적은 지나치게 나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중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조치 때 정부가 WTO 제소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홍 수석은 “중국의 경우 한국 투자기업·관광·특정 품목에 대한 조치의 행위자나 그 근거를 찾기 어려운 기술적 애로를 고려한 것”이라고 밝혔다.
임일영 기자 arus@seoul.co.kr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8-02-2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