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쉽고 15분내 신속발사 가능
중장거리 미사일에도 적용 주목軍 “개발 추진 단계… 엄중 인식”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탄도미사일에 적용할 수 있는 고체연료 엔진 분출 시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미사일 발사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고체연료 기술을 확보하면 이를 선제타격할 우리 군의 ‘킬체인’ 체계가 무력화될 우려가 제기된다.
![대남 위협 수위 높이는 김정은](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3/24/SSI_20160324180224_O2.jpg)
연합뉴스
![대남 위협 수위 높이는 김정은](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3/24/SSI_20160324180224.jpg)
대남 위협 수위 높이는 김정은
북한 노동신문이 24일 자신들의 기술로 고체연료 로켓 시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가운데 김정은(가운데)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로켓 엔진 앞에 서서 관계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고체연료 로켓은 액체연료 로켓보다 추진력은 약하나 연료를 주입할 필요가 없어 미사일 발사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무엇보다 연료를 미사일에 항상 저장해 놓을 수 있어 이동식발사대(TEL)에 탑재한 뒤 은밀하게 이동해 신속히 발사할 수 있다. 북한은 사거리 120㎞의 KN02 단거리 미사일과 300㎜ 신형 방사포에는 고체연료를 사용해 왔지만 사거리가 긴 스커드와 노동, KN08,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엔 액체연료를 사용하고 있다. 반면 우리 군은 국산 ‘현무’ 탄도미사일 등에 이미 고체연료를 사용해 왔다. 하지만 북한이 앞으로 스커드, 노동 미사일 등에 고체연료를 적용한다면 이는 그동안 발사하기까지 30~40분이 소요됐던 것이 앞으로 10~15분대로 줄어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고체연료 로켓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단계로 보이며 우리 군은 이를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면서도 “스커드나 노동 미사일 연료를 고체로 만들려는 단계인지는 좀 더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군 당국이 2020년대 중반까지 구축할 킬체인 체계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를 사전 포착한 뒤 선제타격하는 데 최소 25~30분 걸릴 것을 염두에 두고 있어 자칫 킬체인이 무력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군 관계자는 “북한 미사일 발사 징후를 사전에 포착하는 것은 연료 주입 시간뿐 아니라 통신 감청, 이동식발사대 움직임 등 다양한 요소를 감안하기 때문에 킬체인 전략 자체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군 당국은 1000여기에 달하는 북한 탄도미사일 능력이 고도화함에 따라 국산 요격미사일 개발은 물론 공격용 미사일을 대량생산하는 ‘물량 공세’로 대응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재 800여기 정도인 현무 미사일 전력을 2022년까지 2000기 수준으로 늘릴 계획이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6-03-2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