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EA 보고서 “냉각탑 없이도 원자로 재가동 가능”
북한이 2007년 가동을 중단했다가 지난 4월 재가동을 선언한 영변 핵시설에서 건물 신축 등 건설 작업을 하고 있다고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28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최근 6자회담 재개를 위한 탐색전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IAEA가 북한 핵 프로그램에 대한 우려를 다시 표명하고 나선 것으로 주목된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8/29/SSI_20130829183313.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8/29/SSI_20130829183313.jpg)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IAEA는 위성을 통해 북한 핵개발을 감시해 온 결과 플루토늄 생산용 원자로 건물 근처에서 건물 신축 작업과 주변 도랑 파기 작업이 관찰됐으며 특히 지난 3~6월에 집중적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IAEA는 “도랑 파기 작업은 원자로 냉각 시스템의 구조 변경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며 “이것이 맞다면 2008년 폭파한 원자로 냉각탑을 재건축하지 않고도 원자로를 다시 가동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IAEA는 또 “북한이 연료용 노심을 가득 채울 만큼 충분한 우라늄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며 “그러나 원자로가 언제 가동을 시작할지 판단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IAEA는 특히 북한의 이번 건설 작업이 “핵 능력을 더 발전시키겠다”는 지난 4월 발표에 따른 것이라며 “북한 핵 프로그램은 심각한 우려로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2007년 10월 6자회담 합의에 따라 5㎿ 흑연감속 원자로 등 영변 핵시설 가동을 중단하고 이듬해 6월 원자로 냉각탑을 폭파했다. 그러나 지난 4월 핵무기에 쓰이는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있는 원자로를 포함해 영변 핵시설을 재가동하겠다고 선언하며 6자회담 합의 파기와 핵무기 생산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김미경 기자 chaplin7@seoul.co.kr
2013-08-3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