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지도자 ‘김정은(얼굴) 체제’가 30일로 개막 한달을 맞았다.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달 30일 당 정치국 추대로 군 최고사령관에 오르며 외견상 당·군·내각의 권력을 장악한 것으로 평가된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 부위원장은 최고사령관 추대 후 선군통치로 대표되는 부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유훈을 앞세워 ‘군심’(軍心)을 잡는 데 잰걸음이다. 김 부위원장이 최고사령관 추대 이틀 만인 새해 첫날부터 ‘근위서울 류경수 제105탱크사단’를 시찰하고 최고지도자 등극 한달여 동안 군부대만 6차례 시찰한 것도 군을 통치 기반으로 삼으려는 의도다.
북 주민들에게 인지도가 낮다는 김 부위원장의 약점에 대한 극복은 우상화 강화로 나타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이 최근 김 부위원장에 대해 ‘어버이’라는 표현을 쓰기 시작했고, 그에 대한 기록영화를 대대적으로 방영하며 충성을 유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김 부위원장이 현장지도에서 군 장병과 팔장을 끼고 학생들의 손을 잡는 등 스킨십에 나서는 건 과거 김일성 주석의 통치술을 활용한 것이라고 분석한다.
국제 무대에서도 김 부위원장은 북한 최고지도자로 공식 등장했다. 조선중앙방송은 28일 김 부위원장이 부친 사망에 조전을 보낸 각국 수반들에게 답전을 발송해 깊은 사의를 표시했다고 보도했다. 김 부위원장이 자신의 이름으로 외국 정상에게 공개적 메시지를 보낸 것은 처음이다.
북한 권력 지도에도 변화가 포착되고 있다. 노동신문이 김 부위원장의 현지지도 보도에서 고모부인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을 동행자 1순위에 올리는 등 그동안 ‘곁가지’로 취급되던 장 부위원장이 2인자가 됐다는 게 중론이다. 또 군부 내 원로그룹이 물러서고 김명국 군 총참모부 작전국장, 김원홍 총정치국 조직담당 부국장, 리두성 중장 등 신진 세력이 김정은 시대에 중용되고 있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12-01-30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