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남 장례식 참석할까
![김정남](https://img.seoul.co.kr/img/upload/2004/09/25/SSI_20040927155836.jpg)
![김정남](https://img.seoul.co.kr//img/upload/2004/09/25/SSI_20040927155836.jpg)
김정남
●일부 “부인·아들만 참석 할 수도”
20일 대북 소식통들에 따르면 권력 서열에서 밀려난 ‘비운의 황태자’ 김정남과 그의 아들 한솔군의 행방은 묘연한 상태다. 홍콩 성도일보는 마카오 콜로안의 김정남 자택 창문에는 커튼이 쳐져 있었다고 전했다. 이웃 주민들도 오랫동안 자택에 사람이 드나들지 않았다고 증언했다는 것이다. 앞서 한솔군은 김 위원장 사망 전날인 지난 16일 방학을 맞아 집에 돌아간다며 보스니아 국제학교를 떠났다. 이들은 아직 북한에 입국하지 않고 마카오나 홍콩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한 대북 소식통은 전했다. 28일로 예정된 영결식을 전후해 북한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김정남이 장례식에 참석하더라도 불안한 내부 정치상황과 신변안전 등을 이유로 잠시 머무르다 서둘러 평양을 떠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김정남 동조세력 급부상 가능성
다른 시나리오는 아예 김정남이 평양행 비행기에 오르지 않는 대신 부인과 한솔군만 장례식에 보낼 가능성이다.
김정남은 물론 아예 한솔군도 평양을 방문하지 못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후계자의 형제와 친인척을 극도로 경계하는 북한 권력의 속성상 불필요한 자극과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편 도쿄신문은 김 위원장의 죽음으로 중국의 후진타오 정권과 가까운 김정남의 존재감이 높아질 수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김정남은 김정은 측의 견제로 장례식에 참석하지 못할 수 있으나 북한 관료들 중에는 김정남의 개혁·개방 주장에 동조하는 세력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서울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12-21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