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박홍환특파원│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은 예상을 깨고 베이징 도착 후 2시간도 채 안 돼 후진타오(胡錦濤)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전광석화와 같은 행보다. 그만큼 후 주석과의 만남이 급했다는 얘기일 수도 있다.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만찬 시작전 1시간여 동안 이뤄진 회담에서는 양국 간 경제협력 강화 방안을 중점 논의한 뒤 6자회담 재개 문제를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논의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후 주석이 6자회담 재개에 대한 북한의 협조를 요청하며 대규모 경제지원 의사를 피력했을 공산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김 위원장은 최근 설립한 조선대풍국제투자그룹과 국가개발은행에 대한 중국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김 위원장은 또 6자회담 재개 필요성에 공감의 뜻을 나타내면서도 이를 위한 미국과 한국 정부의 태도 변화, 그리고 중국의 보다 적극적인 중재 노력을 당부했을 것으로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보고 있다.
베이징의 한 북한 전문가는 “김 위원장이 보다 진전된 비핵화 조치를 내놓고 중국에 중재를 요청했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국제사찰 수용 등을 천명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럴 경우 한·미 양국은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다. 특히 이달 중 베이징에서 열리는 미국과 중국의 제2차 전략경제대화에서 미국은 북한의 입장을 자세하게 전달받고, 자국의 입장을 정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감한 현안인 천안함 사태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오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후 주석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무엇보다 긴요하며 이를 위해 남북 간 대화 필요성을 강조하는 식으로 우회적인 유감의 뜻을 나타내고, 김 위원장은 한반도 문제의 국제적 논의에 있어서 혈맹국으로서 중국이 보다 적극 역할을 해 줄 것을 당부했을 공산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김 위원장의 3남 정은으로의 권력 이양 문제는 공식적인 정상회담 의제로 삼기에 부적절하다는 점에서 거론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외교소식통들은 입을 모았다.
stinger@seoul.co.kr
베이징 심장부 통과
5일 오후 중국 공안이 베이징 도심의 건국문 부근 도로인 창안제(長安街)를 통제한 가운데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탄 것으로 추정되는 승용차와 의전차량들이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이 열릴 댜오위타이로 향하고 있다.
베이징 연합뉴스
5일 오후 중국 공안이 베이징 도심의 건국문 부근 도로인 창안제(長安街)를 통제한 가운데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탄 것으로 추정되는 승용차와 의전차량들이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이 열릴 댜오위타이로 향하고 있다.
베이징 연합뉴스
이에 김 위원장은 최근 설립한 조선대풍국제투자그룹과 국가개발은행에 대한 중국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김 위원장은 또 6자회담 재개 필요성에 공감의 뜻을 나타내면서도 이를 위한 미국과 한국 정부의 태도 변화, 그리고 중국의 보다 적극적인 중재 노력을 당부했을 것으로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보고 있다.
베이징의 한 북한 전문가는 “김 위원장이 보다 진전된 비핵화 조치를 내놓고 중국에 중재를 요청했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국제사찰 수용 등을 천명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럴 경우 한·미 양국은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다. 특히 이달 중 베이징에서 열리는 미국과 중국의 제2차 전략경제대화에서 미국은 북한의 입장을 자세하게 전달받고, 자국의 입장을 정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감한 현안인 천안함 사태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오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후 주석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무엇보다 긴요하며 이를 위해 남북 간 대화 필요성을 강조하는 식으로 우회적인 유감의 뜻을 나타내고, 김 위원장은 한반도 문제의 국제적 논의에 있어서 혈맹국으로서 중국이 보다 적극 역할을 해 줄 것을 당부했을 공산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김 위원장의 3남 정은으로의 권력 이양 문제는 공식적인 정상회담 의제로 삼기에 부적절하다는 점에서 거론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외교소식통들은 입을 모았다.
stinger@seoul.co.kr
2010-05-0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