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의 文지원 파괴력’ 전문가 전망
안철수 전 무소속 대선 후보가 6일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의 선거 지원에 본격 합류하기로 함에 따라 12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최대 관심사가 됐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12/07/SSI_20121207021541.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12/07/SSI_20121207021541.jpg)
안 전 후보의 후보직 사퇴가 ‘아름다운 단일화’로 비치지 못해 국민적 감동이 부족했던 데다 이후 안 전 후보의 문 후보 지원이 늦어지고 양측 간 감정싸움 양상까지 빚으면서 유권자들의 실망감이 커졌다는 관측이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안 전 후보가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면 문 후보의 지지율이 3% 포인트 안팎에서 올라갈 수 있다.”며 “이 정도 추격이라면 대선판을 흔들 만큼 큰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리얼미터 이택수 대표는 “단기적으로 문 후보가 지지율을 2~3% 포인트 회복할 것”이라며 “앞으로 안 전 후보가 적극적인 지원에 나선다면 효과가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안 전 후보가 전국을 순회하는 지원 활동을 벌이고 문 후보와 함께 공동유세에 나서는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시너지 효과가 더 커질 것이란 의미다.
반면 김용호 인하대 교수는 “단순 지원으로 유권자에게 임팩트를 줄지는 의문”이라며 “공동정부 구성 등 확실한 정치 공조 프레임이 만들어지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엠브레인의 이병일 이사는 “3자 대결 당시 안 전 후보 지지율은 대략 25% 정도였고 이 가운데 40%가 야권 지지대열에서 이탈했다.”면서 “이 표심을 어느 정도 안 전 후보가 다시 흡수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안 전 후보의 구원등판 시기가 늦어지는 바람에 효과 극대화의 타이밍을 놓쳤다는 지적도 나온다. 안 전 후보의 사퇴 이후 실망한 유권자들 상당수가 ‘신부동층’으로 떠돌다가 이미 박 후보에게 이동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은 “당장 박 후보를 역전시키기에는 무리인 것 같지만 격차가 벌어지는 흐름을 반전시킬 계기는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가상준 단국대 교수는 “안 전 후보가 부각되면 문 후보의 존재감이 사라지는 묘한 이중주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역전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두 사람의 전폭적인 협력에 위기를 느낀 보수층이 재결집할 것이란 진단도 나온다. 신 교수는 “보수층 결집이 이뤄지면 박 후보의 지지층을 늘리는 유인이 될 것”이라며 “보수층이 좀 더 열심히 투표에 나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2-12-07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