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찰단, 희석·방류 설비 9시간 점검
“새달 IAEA 보고서 참고 후 결론”
日은 수산물 규제 해제에 안간힘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시찰단장인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이 23일 오후 후쿠시마 제1원전 현장 시찰을 마치고 후쿠시마현 후타바군 도쿄전력 폐로자료관에 돌아와 취재진에 점검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2023.5.23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5/SSC_20230525011227_O2.jpg)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시찰단장인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이 23일 오후 후쿠시마 제1원전 현장 시찰을 마치고 후쿠시마현 후타바군 도쿄전력 폐로자료관에 돌아와 취재진에 점검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2023.5.23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5/SSC_20230525011227.jpg)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시찰단장인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이 23일 오후 후쿠시마 제1원전 현장 시찰을 마치고 후쿠시마현 후타바군 도쿄전력 폐로자료관에 돌아와 취재진에 점검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2023.5.23 연합뉴스
시찰단은 전날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포함해 오염수를 저장하고 핵종을 측정하는 K4 탱크를 시찰한 데 이어 이날 약 9시간 동안 방류와 관련된 주요 설비를 점검했다. 시찰단장인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은 시찰 후 기자들과 만나 “저희가 관심을 갖고 있는 부분 중 하나가 ‘차단 밸브’였다”고 말했다. 이어 “ALPS를 거친 오염수가 (바닷물 등에) 희석되기 전 단계에서 이상 상황 발생 시 긴급하게 밸브를 닫아야 하는데 이 밸브가 어디에 설치돼 있고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유 단장은 “또 (오염수를) 핵종별 측정을 하기 위해 전처리 과정이 필요한데 이 과정이 어떤 절차에 이뤄지고 있는지 등을 확인했다”며 “오염수 희석 설비는 충분히 희석될 수 있는 만큼의 펌프 용량이 되는지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봤다”고 말했다. 이날로 원전 현장 시찰을 끝낸 시찰단은 25일 일본 정부와 심층 기술회의 및 질의응답을 가진 뒤 26일 귀국한다. 시찰단은 이날 살펴본 제1원전 점검 내용과 일본 정부에 요청한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기로 했지만 최종 결론을 내리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유 단장은 결론 발표 시점에 대해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검증하고 있는 과정을 저희들이 참고를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르면 다음달 IAEA가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방류 계획에 대해 검증한 최종 보고서를 발표하는데 그 이후 우리 정부의 입장을 발표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러한 시찰단 활동에 대해 일본 측에서는 한국 측이 원하는 대로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 시설 등을 확인한 만큼 일본 정부의 방류 계획을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자평하고 있다. 나아가 한국의 후쿠시마산 수산물 재개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위기 조성까지 유도하고 있다.
전날 노무라 데쓰로 농림수산상은 각의(국무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이번 시찰은 처리수 조사가 중심이라고 하지만 그것과 함께 수입제한 해제도 요청하고 싶다”고 말해 논란을 일으켰다. 일본에서는 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ALPS로 처리한 만큼 처리수로 표현하고 있다. 산케이신문은 “일본 정부는 시찰단 파견이 윤석열 정부의 처리수 방류 허용과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 해제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총리 관저 간부는 ‘이번 시찰은 일본의 양보가 아닌 문제(오염수 방류 반대)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2023-05-25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