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I_20230314135257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I_20230314135342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I_20230314135206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I_20230314135135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I_20230314135420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I_20230314135400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I_2023031413543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I_20230314135112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I_20230314135230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I_2023031413531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I_20230314135035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I_2023031413545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I_20230314135523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I_20230314135539_O2.jpg)
14일 군 당국에 따르면 우리 군은 지난 6~9일 FS 사전연습격인 위기관리연습(CMX)를 실시해 주요 위기사태 목록을 점검한 뒤 13일부터 11일간의 FS를 시작했다.
한미는 이번 FS와 연계해 양국 해병대가 참가하는 ‘쌍룡’ 상륙훈련을 사단급 규모로 확대 실시하는 등 20여개 규모 연합 야외기동훈련(FTX) WS를 실시하고 있다. 한미가 전구급 연합 FTX를 하는 건 2018년 이후 5년 만이다.
육군은 이날 한미 연합 WS 주요 일정을 위한 예행연습 등 숙달 훈련을 진행한다. 주한 미 육군 제2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은 전날 임진강에서 부교를 설치하는 공병 훈련을 실시한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다.
해군은 이번 연습 기간 연합·통합작전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항만, 원전 등 국가주요시설에 대한 민관군 통합 방호훈련, 무장 적재훈련, 연합 폭발물 처리훈련, 주요 항만 피해복구훈련 등을 하고 있다.
또 공군은 이날부터 이틀간 제20전투비행단을 비롯한 주요 전투비행부대에서 36시간 ‘주·야간 지속 출격훈련’을 수행한다. 공군의 이번 훈련은 전시에 적 핵심전력을 무력화하고 전쟁을 승리로 이끌기 위한 선제적 제공권 장악 절차 숙달을 목표로 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