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 “싱가포르 합의에 기초해 북미 협상, 무력 행사 않는다”

한미 정상 “싱가포르 합의에 기초해 북미 협상, 무력 행사 않는다”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9-24 09:23
수정 2019-09-24 09: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인터콘티넨탈 바클레이 호텔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취임 이후 아홉 번째 한미정상회담을 갖기 전 손을 맞잡으려 하고 있다. 뉴욕 AP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인터콘티넨탈 바클레이 호텔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취임 이후 아홉 번째 한미정상회담을 갖기 전 손을 맞잡으려 하고 있다.
뉴욕 AP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진행된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에 대한 무력을 행사하지 않는다는 기존 약속을 재확인했다고 청와대 고위관계자가 전했다.

이 관계자는 뉴욕 현지에서 65분 만에 끝난 정상회담 성과를 취재진에게 브리핑하며 “두 정상은 북한이 비핵화할 경우 밝은 미래를 제공한다는 기존 공약을 재확인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싱가포르 합의를 기초로 협상을 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에 실질 진전을 이루려는 의지가 강함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회담에서는 24일 서울에서 시작하는 11차 방위비 분담금 협상을 둘러싼 원칙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이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합리적 수준의 공평한 분담을 강조했다”며 “현 정부 들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국방예산 및 미국산 무기 구매, 분담금의 꾸준한 증가 등 한미 동맹 등에 기여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상세히 설명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나아가 한국 정부의 무기 구매와 관련, 지난 10년의 현황과 향후 3년간 계획을 밝혔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제3차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될 경우 어떤 결과가 나올 수 있을지에 대해 알고 싶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좋은 관계를 거듭 강조하는 한편,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의미는 계속적으로 축소했다. 다만 합의 여부에 대해서는 신중론을 견지했다.

백악관의 녹취록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의 숙소인 인터콘티넨털 바클레이 호텔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 모두발언 및 질의응답에을 통해 김 위원장과의 3차 정상회담이 열리기 위해 어떤 것이 요구되느냐는 질문에 “글쎄, 지켜보자”라며 “지금 사람들은 그것(3차 북미정상회담)이 이뤄지길 보고 싶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난 그것으로부터 무엇이 나오게 될지 알기를 원한다”며 “우리는 정상회담이 개최되기 전에 많은 것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따라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자”며 “그러나 우리는 무언가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해 보고 싶다. 우리가 할 수 있다면 아주 좋을 것이고 우리가 할 수 없다 해도 그것도 괜찮다.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자. 그러나 오랫동안, 오랫동안 어떤 핵실험도 없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 카운터파트(문 대통령)와 논의할 계획인가‘란 질문에 “그렇다. 우리는 그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우리는 그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내가 대통령이 아니었다면 여러분은 지금 당장 북한과 전쟁 중이었을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한국의 군사 장비 구매에 대해서도 논의를 할 것”이라며 “한국은 미국의 최대 군사 장비 구매국 가운데 하나이다. 우리는 매우 잘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