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무장 허용 등 막장 비전 제시에 외교부, 의중 분석·정보 수집 등 대책 마련 나섰지만 해법 못 찾아
미국 대선 공화당 경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가 외교안보 현안에 대해 ‘막무가내식’ 발언을 연일 쏟아 내는 바람에 우리 외교 당국이 대책 마련에 진땀을 빼고 있다. 트럼프의 ‘동맹의 안보 무임승차론’이나 ‘핵무장 허용’ 등은 미국 내에서도 비판받고 있지만 최근 그의 공화당 경선 승리가 유력해지며 외교 당국으로선 이를 웃고 넘길 수만은 없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29일 외교부 관계자에 따르면 전날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주재한 실국장회의 테이블에 오른 핵심 현안은 ‘대(對)트럼프 대책 마련’이었다고 한다. 2시간이 넘게 진행된 회의의 대부분은 트럼프의 외교안보 대책에 대한 분석과 평가에 할애됐다. 이 관계자는 “윤 장관이 먼저 트럼프의 안보 무임승차론과 주한미군 철수, 핵무장 발언을 거론하며 고위 당국자들에게 돌아가면서 의견을 물었다”고 전했다.![도널드 트럼프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3/29/SSI_20160329172952_O2.jpg)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3/29/SSI_20160329172952.jpg)
도널드 트럼프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지난 실국장회의에서는 뚜렷한 답이 나오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관계자는 “의중 분석과 함께 외교안보 정책 라인에 대한 정보 수집을 계속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 외교 소식통은 “미국 내 여러 나라 공관들도 싱크탱크 등을 통해 트럼프의 외교안보 정책에 대해 자문하고 있지만 미국 내부에서도 별다른 정책 분석 등이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라고 전했다.
미 정부는 동맹국들의 우려를 감안한 듯 적극적인 입장 개진에 나섰다. 존 커비 국무부 대변인은 28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우리가 한국과 일본에 약속한 조약을 얼마나 심각하게 여기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바뀐 것이 없다”며 트럼프의 발언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서울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6-03-3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