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속초해전 재조명] “라디오뉴스로 교전소식 듣고 11년만에 남편실종 통보받아 애들 키우느라 온갖 일 다해”

[1974년 속초해전 재조명] “라디오뉴스로 교전소식 듣고 11년만에 남편실종 통보받아 애들 키우느라 온갖 일 다해”

입력 2013-06-28 00:00
수정 2013-06-28 0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863함장 아내 강정숙씨

863함장 아내 강정숙씨
863함장 아내 강정숙씨
“근처에 살고 있던 남동생이 집으로 막 달려와서는 라디오 틀어 보라고 소리치는 거예요. 863함이 교전 중이라고 해서 구조돼 살아 돌아올 줄 알았습니다.”

당시 해경 863함 함장의 아내 강정숙(66)씨는 27일 “라디오로 뉴스를 듣는 순간 제 정신이 아니었다”고 회고했다. 한 살배기 작은아들은 친정에 맡기고, 3살 된 큰애만 데리고 무작정 김포공항에서 속초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그러나 안개 때문에 착륙이 안 돼 회항을 해야 했다. 소리를 내 엉엉 울자 부기장이 “왜 그러냐”고 물었다. 자초지종을 말했더니 당시 함께 탔던 한 신문기자가 서울로 되돌아가 신문사 차량으로 다시 오자며 위로했다. 밤늦게 속초에 도착했다. 여관에 묵으며 매일매일 울고 불며 무사히 돌아오기만 기다렸다. 이렇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겠지만 두 아이를 키우며 지금까지 어떻게 살아왔는지 잘 모르겠어요.”

실종자 18명 모두 어딘가에 살아 계실지 모른다고 생각했었다. 11년 만인 1985년 돌아온 소식은 법원에서 실종자로 확정돼 이제 급여가 중단됐다는 소식뿐이었다. 갑자기 생계가 막막해졌다. 미장원, 신발가게, 한식당 등 별의별 일을 다 해 봤다. 그래도 고생이라고 생각지는 않았다. 다만 아이들이 아버지 사랑을 한 번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성장한 게 너무도 가슴이 미어진다. 처음에는 정부와 해경이 관심을 많이 가져 줬으나 그해 8월 육영수 여사 저격 사건 후 모든 관심과 지원이 끊어졌다. “우리 신랑은 침착하고 지적이었요. 많이 떨어져 지냈던 게 아쉽고 그립네요.”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3-06-28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