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9/09/SSI_20100909181917.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9/09/SSI_20100909181917.jpg)
그는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도출된 교훈은 어느 지역에서는 전투를 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안정화 작전을 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안정화 단계에서뿐만 아니라 분쟁 단계에서도 범 정부 차원에서 (안정화 작전에)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한·미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비해 작성한 ‘개념계획 5029’를 작전계획으로 변경, 세부적으로 발전시키고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그는 “한·미 양국은 (북한)주민 안정화 작전을 하고 있고 이는 중요한 작전”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군 당국은 북한지역 안정화 작전과 관련된 확대해석은 경계했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지난달 UFG 연습 때 실시된 북한 안정화 작전은 연례적인 연습 때와 마찬가지로 한·미 연합군의 진출에 따른 후방지역 안정화 작전을 연습한 것”이라며 “북한 급변사태에 대비한 안정화 훈련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한편 샤프 사령관은 2013년 이후에도 한국 정부의 방위비 분담금을 주한미군 이전사업에 투입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더 이상 살지 않는 곳(용산기지)에 투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2사단이 이전하는 평택에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0-09-1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