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 TJB대전방송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자 방송 토론회’ 시작 전 강훈식(왼쪽), 이재명(가운데), 박용진(오른쪽) 후보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2.8.10 공동취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1/SSI_20220811114136_O2.jpg)
![10일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 TJB대전방송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자 방송 토론회’ 시작 전 강훈식(왼쪽), 이재명(가운데), 박용진(오른쪽) 후보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2.8.10 공동취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1/SSI_20220811114136.jpg)
10일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 TJB대전방송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자 방송 토론회’ 시작 전 강훈식(왼쪽), 이재명(가운데), 박용진(오른쪽) 후보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2.8.10 공동취재
강 후보는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박 후보의 단일화 제안에 대한 입장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지금 시점에서 단일화 논의가 명분, 파괴력, 감동이 있겠나”라며 이같이 말했다.
강 후보는 이어 “어떤 계기도 없이 20%의 표를 받은 후보와 5%의 표를 받은 후보가 힘을 합쳐 25%를 만든다고 해서 어떤 파급효과가 있을지 묻고 싶다”고 했다.
강 후보는 특히 “박 후보는 지난 대선 경선 당시 본인에게 ‘활주로가 필요하다’고 했었다. 저도 비슷한 심정”이라며 “강훈식이라는 사람이 민주당의 비전과 미래를 얘기하는 비행기를 활주로에 띄워야 하는데, (단일화 제안은) 그 활주로에 방지턱을 설치하는 느낌”이라고 설명했다.
강 후보는 이어 “냉정하게 말해 지금까지 경선에서 저와 박 후보가 얻은 표는 전체 권리당원 숫자의 1%가 안된다. 둘이 합친 표가 1만표 정도 되는데 전체 권리당원 숫자는 110만명 정도”라며 “지금은 오히려 파이를 키우는 데 집중할 때”라고 강조했다.
앞서 박 후보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답답하게 진행되고 있는 전당대회의 낮은 투표율, 일방적인 투표 결과를 보면서 뭔가 반전의 계기와 기폭제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며 “민심과 당심이 확인되는 방식이면 어떤 것이든 강 후보가 제안하는 방식으로 단일화를 이뤄낼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주말이면 4주간의 전당대회 순회 경선이 반환점을 도는 만큼, 방식까지 일임하겠다며 강 후보에 단일화를 재촉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박 후보는 예비경선 단계에서부터 ‘97그룹’(90년대 학번·70년대생)을 포함한 비이재명계 후보들의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다.
박 후보는 “내일부터 국민 여론조사가 시작되고, 이번 주를 지나버리면 일정상으로 절반을 돌아가게 된다. 이제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저와 강 후보는 이번 전당대회를 기점으로 민주당의 새로운 흐름을 함께 만들어갈 의무가 있다. 두 사람이 비전과 가치를 중심으로 함께 움직여야 할 때”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