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권 재산 1위는 안철수 1367억…이재명 30억·오세훈 74억 신고

차기 대권 재산 1위는 안철수 1367억…이재명 30억·오세훈 74억 신고

이보희 기자
입력 2025-03-27 06:00
수정 2025-03-27 06: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2

홍준표 42억 5000만원·김문수 10억 7000만원 신고
‘비명계 주자’ 김동연 35억원

이미지 확대
6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분권형 권력구조 개헌 대토론회’에서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참석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5.3.6안주영 전문기자
6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분권형 권력구조 개헌 대토론회’에서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참석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5.3.6안주영 전문기자


공직자들의 재산이 공개된 가운데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로 꼽히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30억원이 넘는 재산을 신고했다.

국회공직자윤리위원회와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7일 각각 공개한 정기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보면 이 대표의 재산은 30억 8914만 3000만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말 신고한 31억 1527만 3000원보다 2613만원 감소했다.

부인 김혜경씨와 공동으로 보유한 경기 성남시 분당구 양지마을 금호1단지 아파트(164.25㎡)는 가액이 14억 5600만원으로 전년 대비 약 4.97% 올랐으며, 2024년식 제네시스 G80(3470cc) 승용차 한 대를 신규 매입하기도 했다. 은행 예금은 15억 8398만원을, 채무는 1억 3800만원을 신고했다.

비명(비이재명)계 잠룡으로 꼽히는 김동연 경기지사는 35억 506만원의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지사의 재산은 전년도에 비해 1억 6832만원 늘어났다.

이미지 확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8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김동연 경기지사(왼쪽)와 만나 악수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8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김동연 경기지사(왼쪽)와 만나 악수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여권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재산이 지난해 말 기준 74억 554만원으로 현직 광역단체장 중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보다 14억 2954만원 늘어난 것으로, 전국 광역단체장 중 신고액도 1위·증가액도 1위다.

오 시장은 예금은 줄이고 엔비디아,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등 미국 주식에 투자했는데 주가가 오르며 재산도 불어난 것으로 보인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42억 5922만원으로 전국 광역단체장 중 3위의 재산액을 기록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해 11월 인사청문회 당시보다 3000만원가량 늘어난 약 10억 70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은 1367억 8982만원으로 대권주자 중 재산이 가장 많았다. 그는 본인이 창립한 안랩 주식 186만주를 보유하고 있다. 해당 주식의 평가액은 1241억 1320만원이다.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은 14억 789만 7000원을 보유했다.

국회의원 평균 재산 32억 7723만원
국민의힘 평균 56억 4173원·민주당 19억 8779만원
한편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국회의원 299명의 평균 신고재산액은 32억 7723만원이었다.

신고재산 총액이 500억원 이상인 의원은 전년도와 동일하게 2명(안철수·박덕흠 의원)으로, 이들을 제외한 297명의 평균 신고재산액은 26억 5858만원이었다.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의원들의 재산액이 평균 56억 4173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국민의힘에 이어 개혁신당(28억 3136만원), 민주당(19억 8779만원), 조국혁신당(17억 5942만원), 기본소득당(4억 4612만원), 진보당(4억 344만원) 등 순이었다.

총액 기준으로 신고 재산을 살펴보면 10억원 이상~20억원 미만이 94명(31.4%)으로 가장 많았다. 50억원 이상 33명(11%), 20억원 이상~50억원 미만 88명(29.4%), 5억원 이상~10억원 미만 51명(17.1%), 5억원 미만 33명(11%)으로 나타났다.

김형재 서울시의원, 도곡시장 개장 55주년 기념행사 참석

서울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은 지난달 18일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도곡시장에서 개최된 ‘도곡시장 개장 55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해 지역 주민 및 상인들과 함께 전통시장의 오랜 역사와 의미를 되새기고, 앞으로의 발전을 기원하는 시간을 가졌다. 도곡시장 상인회 주관하에 열린 이날 행사는 김형재 의원을 비롯해 국민의힘 서명옥 국회의원(강남갑), 강남구의원, 지역주민과 상인 등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으며, 떡매치기, 55인 떡가래 잇기 등 다양한 축하행사와 공연, 기념식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날 김 의원은 축사를 통해 “도곡시장은 55년 동안 지역경제의 뿌리로서 주민 삶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며 “서울시의원 취임 이후 상인회 사무실 및 고객쉼터 조성, 시장 내 노후 가로등 개선, 과속방지턱 설치, 도시가스 인입 등 그동안 도곡시장 활성화를 위해 꾸준히 노력해 온 바 있는데 그 결과 최근 시장에 활력이 조금씩 돌아오고 있어 매우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앞으로도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서울시 차원의 예산 및 정책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상인 여러분의 노력과 주민들의 관심이 더해져 도곡
thumbnail - 김형재 서울시의원, 도곡시장 개장 55주년 기념행사 참석
윤석열 대통령은 현직으론 처음으로 재산 공개 대상에서 제외됐다. 신고 시점에서 구속 상태였기 때문에 유예 신청을 했고, 구속 취소가 됐기 때문에 6월 1일까지 신고를 해야 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