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서울 등 3자회동 앞두고 ‘총력전’
비판 공세 펴다가도 논란 확산엔 ‘방어태세’
경기도민 66.3% 반대 여론조사 발표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 6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경기도청에서 열린 ‘2024년도 본예산 브리핑’에서 김포 서울 편입에 관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12/SSC_20231112125220_O2.jpg)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 6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경기도청에서 열린 ‘2024년도 본예산 브리핑’에서 김포 서울 편입에 관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12/SSC_20231112125220.jpg)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 6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경기도청에서 열린 ‘2024년도 본예산 브리핑’에서 김포 서울 편입에 관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는 16일 예정된 서울·경기·인천 광역단체장들간 3자 회동을 나흘 앞둔 12일 경기도 핵심 관계자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우리는 서울 편입 논란이 전혀 생산적이지 않아 이를 기정사실화하고 공식화할 생각이 없다”며 “(경기도는)이미 명확하게 선 긋는 결론을 냈다”고 말해 추가 논란 확산을 경계했다.
서울을 어떻게 설득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서울 편입 문제는 누군가 설득을 하거나 할 수 있는 성질의 문제가 아니다”고 답하며 협상의 여지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경기도 입장에서 편입 문제에 대해 먼저 운을 떼어 좋을 게 없다. 수도권 교통문제 등 기존 현안에 집중할 것”이라고 귀띔했다.
이는 최근 서울시가 김포뿐 아니라 구리, 고양 등 도내 다른 시군까지 편입 가능성을 열어 판이 커진 상황이기 때문에 경기도가 해당 주제를 공식적으로 거론할 경우 자칫 협상의 여지가 있다는 인상을 내비쳐 논란이 장기화할 것을 우려하는 대목으로 풀이된다.
앞서 김 지사도 내년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3자 회담 일정이 잡힌 뒤 김포 편입 문제가 나와 어떻게 다뤄질지 모르는데 제 입장은 분명해서 밀고 당길 상황이 아니다”며 이번 회동을 둘러싼 여러 관측과 거리를 둔 바 있다.
![김동연 지사가 페이스북에 올린 지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12/SSC_20231112125222_O2.jpg)
![김동연 지사가 페이스북에 올린 지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12/SSC_20231112125222.jpg)
김동연 지사가 페이스북에 올린 지도
김동연 경기지사 페이스북 캡처.
경기도는 도민 3004명을 대상 조사에서 김포 등 서울 근접 중소도시를 서울시로 편입하는 것에 대해 66.3%(매우 반대 53.1%, 반대하는 편 13.2%)가 ‘반대한다’고 답했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으며 김동연 경기지사가 최근 자신의 페이스북에 서울을 섬(島)으로 표시한 한반도 지도를 올려 서울 집중화 현실을 비판하는 등 활발한 여론전을 펴는 것이다.
또 중국 출장 중이던 지난 1일 동행 기자단 간담회를 시작으로 기자회견은 물론, 도의회 도정질문 등 공식석상마다 도내 시·군의 서울 편입 문제에 비판 공세를 보여 왔다.
아울러 김포시민을 비롯한 도민 달래기에도 바짝 고삐를 조이는 모습이다. 앞서 경기도는 김포시가 서울시 자치구로 편입될 경우, 예산 규모가 3000억원 이상 줄어들고 취득세 등 세금혜택 및 읍면지역 건강보험료 감면 제외, 자치권 축소 등 각종 불이익이 예상된다고 최근 밝혀 주민 설득에도 나섰다. 지난 9일에는 오후석 도 행정2부지사가 중앙정부에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북도 설치와 주민투표가 실시되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