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급식도 ‘수요자’ 중심으로 바뀐다. ‘비인기’ 메뉴인 흰 우유를 줄이는 대신 가공우유와 주스를 늘리고 가공식품 브랜드도 다양해진다.
국방부는 장병 선호도를 우선 고려한 ‘2023 국방부 급식방침’을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우선 농·축·수산물의 장병 1인당 1일 ‘기본 급식량’을 폐지해 선호도에 따라 급식 품목과 수량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장병들이 많이 남기는 콩나물을 줄이고 더 잘 먹는 시금치를 늘리는 식이다.
축산물의 부위·등급별 의무급식 비율도 사라진다. 예를 들어 볶음용 돼지고기는 지난해까지는 목심 15%, 앞다리 15%, 국거리용은 양지 63%, 사태 37% 같은 의무 비율을 적용했지만 올해부터는 장병들이 먹고 싶어 하는 부위·용도를 자율적으로 선택해 급식할 수 있도록 했다. 군 관계자는 “부대가 예산 범위 안에서 장병들이 선호하는 삼겹살 구매를 늘리고 인기가 떨어지는 앞다리 같은 부위는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공식품은 브랜드가 다양해진다. 두부류, 설탕, 천일염, 식용유, 딸기우유 등 가공우유, 두유 등 일부 가공식품이 다수공급자계약 품목으로 전환돼 부대별(사단급) 식단 편성 자율성이 확대됐다. 이들 품목은 지난해까지 단일업체 낙찰에 따라 선택에 제약이 있었다. 장병의 외식 요구를 충족하고 조리병 휴식 여건을 개선하는 한편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취지로 주둔지 식당과 연계해 장병들에게 1인당 1만 3000원 상당의 외식 기회를 월 1회 제공하는 ‘지역상생 장병특식’ 사업이 부대 여건에 따라 시행된다.
또 군 급식에 지역 농산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지역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국내산 농·축·수산물 사용 원칙과 지역산 우선구매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장병 급식의 질 향상이 ‘전투형 강군’ 육성의 토대라는 인식에 따라 현대화된 조리기구 도입 확대, 병영식당 환경 개선, 조리인력 근무여건 개선, 장병 급식비 인상 등 군 급식개선정책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장병 선호도를 우선 고려한 ‘2023 국방부 급식방침’을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우선 농·축·수산물의 장병 1인당 1일 ‘기본 급식량’을 폐지해 선호도에 따라 급식 품목과 수량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장병들이 많이 남기는 콩나물을 줄이고 더 잘 먹는 시금치를 늘리는 식이다.
축산물의 부위·등급별 의무급식 비율도 사라진다. 예를 들어 볶음용 돼지고기는 지난해까지는 목심 15%, 앞다리 15%, 국거리용은 양지 63%, 사태 37% 같은 의무 비율을 적용했지만 올해부터는 장병들이 먹고 싶어 하는 부위·용도를 자율적으로 선택해 급식할 수 있도록 했다. 군 관계자는 “부대가 예산 범위 안에서 장병들이 선호하는 삼겹살 구매를 늘리고 인기가 떨어지는 앞다리 같은 부위는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공식품은 브랜드가 다양해진다. 두부류, 설탕, 천일염, 식용유, 딸기우유 등 가공우유, 두유 등 일부 가공식품이 다수공급자계약 품목으로 전환돼 부대별(사단급) 식단 편성 자율성이 확대됐다. 이들 품목은 지난해까지 단일업체 낙찰에 따라 선택에 제약이 있었다. 장병의 외식 요구를 충족하고 조리병 휴식 여건을 개선하는 한편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취지로 주둔지 식당과 연계해 장병들에게 1인당 1만 3000원 상당의 외식 기회를 월 1회 제공하는 ‘지역상생 장병특식’ 사업이 부대 여건에 따라 시행된다.
또 군 급식에 지역 농산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지역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국내산 농·축·수산물 사용 원칙과 지역산 우선구매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장병 급식의 질 향상이 ‘전투형 강군’ 육성의 토대라는 인식에 따라 현대화된 조리기구 도입 확대, 병영식당 환경 개선, 조리인력 근무여건 개선, 장병 급식비 인상 등 군 급식개선정책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