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효 “일본, 양국 관계 발전 노력 입장 평가” 與 “대승적 결단” vs 野 “외교 치욕” 상반 반응대통령실은 6일 한국 정부의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배상 문제 해법 발표 이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전체적으로 계승할 것”이라고 밝힌 데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미지 확대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일제강점기 징용 해법 발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일제강점기 징용 해법 발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이날 브리핑을 열고 “그간 일본 정부가 표명해온 과거에 대한 반성과 사죄의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미래지향적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김 차장은 “양국이 불행한 역사를 극복하고 미래 지향적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해나가길 바란다”면서 “윤석열 정부는 자유민주주의와 법치, 그리고 시장경제 가치를 공유하는 일본과 공동 이익을 추구하면서 지역과 세계 평화를 위해 함께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차장은 정부의 발표 배경에 대해서는 “윤 정부는 강제동원 문제 해결을 한일 관계 정상화의 중요한 출발점으로 인식하고 해결방안 찾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김 차장은 “피해자 측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일본과 협의하면서 한일 공동 이익에 부합하는 해결책 마련하고자 노력해왔다”면서 “그간 미뤄진 배상을 실시하고 일본과는 과거 아픔을 함께 극복하며 양국의 미래 세대 교류와 협력을 촉진하는 방안을 앞으로 계속 논의하고 이행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번 정부 발표 시점에 관해 “대법원 확정 판결을 받은 15명 중에 생존한 3명이 90세 이상 고령”이라면서 “2018년 대법원 판결 이후 4년 이상 기다려 온 분들을 위로하고 치유하며 필요한 배상을 서두르는 것이 정부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일이라 생각했다”고 부연했다.
정부의 해법을 놓고 여야 정치권은 상반된 반응을 내놨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전 정권에서는 ‘폭탄 돌리기’를 하며 (강제동원 문제를) 국내 정치에 이용했다”면서 “정부 발표는 대승적 결단을 통한 새로운 출발점 마련”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윤석열 정권이 결국 역사 정의를 배신하는 길을 선택한 것 같다”면서 “외교사 최대의 치욕이자 오점”이라고 비판했다.
고혜지·이민영·하종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