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전 대통령 이어, 김동연 당선인 소리수어공약집 제작 주도
“음성형, 수화형 선거공보물 제작 법제화 빨리 이뤄지길 기대”
“후보가 어떤 사람인지 전혀 모르고 투표할 순 없잖아요.”![성우 양희문씨](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6/17/SSI_20220617222624_O2.jpg)
![성우 양희문씨](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6/17/SSI_20220617222624.jpg)
성우 양희문씨
양씨는 6·1 지방선거 때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경기지사 후보의 ‘소리·수어 공약집’ 제작을 주도했다. 소리공약집은 후보의 각종 정책을 성우의 목소리로 녹음해 음성파일 형태로 만든 것으로, 시각장애 유권자에게 배포됐다. 수어공약집은 영상으로 만들어 유튜브를 통해 청각장애 유권자가 볼 수 있도록 했다.
시각·청각장애인을 위한 정책공약집은 당연히 내야 하는 것인데도 아직 낯설다. 지방선거에서는 김 후보가 최초였고, 총선에서는 아직 전례가 없다. 다만 소리공약집은 2017년 대통령 선거 때 당시 문재인 후보가 처음 만들었다. 당시에도 양씨가 문 후보에게 제안해 선거 공약을 음성파일로 만들었다.
이후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홍보물’ 제작이 후보들의 의무로 공직선거법상 법제화됐으나, 양씨는 성우가 음성으로 녹음한 ‘소리 홍보물’이 더 낫다는 입장이다. 그는 “시각장애인들이 점자 홍보물을 손가락으로 짚어 가며 읽는 것보다, 성우들이 녹음한 것을 듣는 것이 한결 편리하다”고 말한다. 점자 홍보물 제작비용보다 소리 홍보물 제작비용이 덜 들고, 시각장애인들의 경우 3배 이상 빠른 속도로 청취가 가능한 장점도 있다는 것이다.
양씨는 이번 지방선거 때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홍보물 제작도 주창했다. 그러나 김동연 캠프를 제외한 어느 곳에서도 자신의 의견을 들어주지 않았다고 한다.
![음성형 선거공약집을 녹음중인 성우 양희문씨](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6/17/SSI_20220617183855_O2.jpg)
![음성형 선거공약집을 녹음중인 성우 양희문씨](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6/17/SSI_20220617183855.jpg)
음성형 선거공약집을 녹음중인 성우 양희문씨
양씨는 “유권자 누구나 동등한 권리를 누리고 어느 누구도 차별과 소외 받지않는 풍토가 마련돼야 한다”면서 “음성형, 수화형 선거공보물 제작 법제화가 하루속히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