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이 20일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경기도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대장동 개발을 공공의 탈을 쓴 개발이라고 주장하며 양의 탈을 쓴 개 인형을 만지고 있다. 2021.10.20 뉴스1](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20/SSI_20211020165523_O2.jpg)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이 20일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경기도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대장동 개발을 공공의 탈을 쓴 개발이라고 주장하며 양의 탈을 쓴 개 인형을 만지고 있다. 2021.10.20 뉴스1](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20/SSI_20211020165523.jpg)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이 20일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경기도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대장동 개발을 공공의 탈을 쓴 개발이라고 주장하며 양의 탈을 쓴 개 인형을 만지고 있다. 2021.10.20 뉴스1
이날 국토위 오후 국감에서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은 개 인형에 양 가면을 씌워 책상 위에 두고 질의를 시작하려 했다.
송 의원은 대장동 의혹에 대해 ‘양두구육’(겉으로는 훌륭한 듯이 내세우지만 속은 보잘 것 없음을 이르는 말)이라고 비판하며 양의 탈을 쓴 개 인형을 동원한 것이다.
그러자 국감 진행을 맡은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즉시 마이크를 끄고 양당 간사를 호출했다. 여당 간사인 김윤덕 의원은 위원장석으로 왔으나, 야당 간사면서 개 인형의 당사자인 송 의원은 이에 응하지 않고 항의했다.
조 의원은 “간사 간 합의로 회의장 내 국감 분위기를 방해할 수 있는 피켓이나 물건을 가져오지 않기로 합의했다”며 “제거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국민의힘 의원들은 거세게 항의하며 국감 진행을 요청했다. 여야 간 고성이 오가자 조 의원은 즉시 국감 정회를 선언했다.
상황을 지켜보던 이 후보는 주변에 “저계 뭐예요?”라고 물은 뒤 “아, 양두구육?”이라고 말하며 소리 내 웃었다. 이후 양당 간사 협의 후 송 의원이 개 인형을 치우면서 국감이 재개될 수 있었다.
이 후보는 “‘양두구육’은 국민의힘 본인들 이야기”라면서 “송 의원이 재밌는 인형을 보여줬는데 사실 민주당이 왜 항의했는지 이해가 안 간다. 그게 본인(국민의힘)들 이야기를 한 것 같아서”라고 말했다.
송 의원이 들고나온 개 인형은 앞서 지난 5일 국토위의 국토교통부 대상 국감에서도 등장했다. 당시 송 의원은 “대장동 개발은 공영개발을 빙자한 특혜, 즉 양의 탈을 쓰고 늑대의 탐욕스러운 본성을 보여준 전형적인 사건”이라며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이 민관 합동 개발을 하겠다고 해놓고 사실상 민간이 사업을 주도하도록 만들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송 의원은 지난 8일 국토위의 도로교통공사 국감에서도 같은 개 인형을 들고나와 “제가 대장동 부근에서 데려온 애가 원래 본명이 ‘대동이’”라며 “그런데 이상한 것을 먹고 다녀서 구린내를 풍겨서 ‘대똥이’로 이름을 바꿨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0일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1.10.20 경기사진공동취재단](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20/SSI_20211020165550_O2.jpg)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0일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1.10.20 경기사진공동취재단](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20/SSI_20211020165550.jpg)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0일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1.10.20 경기사진공동취재단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