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은, 제보 이후 박지원과 통화…“열심히 싸우라” 했다

조성은, 제보 이후 박지원과 통화…“열심히 싸우라” 했다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1-10-07 20:11
수정 2021-10-07 2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발사주 의혹 제보자 조성은씨, 박지원 국정원장과 제보 이후 통화 내용 밝혀

이미지 확대
‘고발사주’ 의혹과 관련해 이 사건 최초 제보자이자 공익신고인인 조성은씨가 30일 오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방검찰청사 앞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와 김웅, 권성동,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 등을 공직선거법 위반, 특정범죄가중법 위반, 명예훼손, 모욕, 허위사실유포, 공익신고자보호법 위반 등 혐의로 고소를 앞두고 취재진에게 고소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2021.10.5 뉴스1
‘고발사주’ 의혹과 관련해 이 사건 최초 제보자이자 공익신고인인 조성은씨가 30일 오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방검찰청사 앞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와 김웅, 권성동,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 등을 공직선거법 위반, 특정범죄가중법 위반, 명예훼손, 모욕, 허위사실유포, 공익신고자보호법 위반 등 혐의로 고소를 앞두고 취재진에게 고소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2021.10.5 뉴스1
‘고발사주’ 의혹 제보자인 조성은 씨가 최근 박지원 국가정보원장과 짧은 통화를 했다고 7일 밝혔다.

조씨는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고발사주 의혹이 불거진 후 9월 중순에서 말쯤에 박 원장이 자신에게 전화를 걸어 “정말 황당하다. 그리고 열심히 싸우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는 “한참 이상한 소리와 허위 보도가 굉장히 많이 나왔을 때”라며 “(박 원장이) 이런 보도가 뭐냐고 (질문)해서 (제가) ‘그런 거 아닙니다’라고 했다”고 전했다. 당시 통화 시간은 10∼20초 정도였다고 덧붙였다.

이어 “(박 원장이) ‘아무튼 파이팅이다’ 이런 이야기를 했다”며 “그것도 그냥 마음의 위안이 됐다”고 말했다.

조씨는 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자신과 국민의힘 김웅 의원과의 통화 내용이 담긴 녹취 파일을 정보 공개 청구한 것과 관련해 “(녹취가 확보되면) 한꺼번에 공개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2018년 1월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당지키기운동본부 전체회의에 박지원(현 국가정보원장) 전 의원과 조성은 전 국민의당 비대위원이 참석해 의견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2018년 1월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당지키기운동본부 전체회의에 박지원(현 국가정보원장) 전 의원과 조성은 전 국민의당 비대위원이 참석해 의견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김 의원과의 당시 통화에서 ‘윤석열이 시켜서’라는 문장도 있었는지를 묻는 말에 “해당 문장이 있는지는 그때(녹취 확보 이후) 되면 알겠죠”라고 답했다.

조씨는 “전혀 모르는 이야기를 (김 의원이) 했기 때문에 혹시 나중에 실수할까 봐 녹음했던 것”이라며 “모르는 내용을 대화하다 보니까 아마 그 뒤에도 제대로 기억하기가 좀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동재 전 채널A 기자의 강요미수 의혹 관련 MBC 보도를 통화 당시에는 전혀 보지 못했던 상황이었다면서 “이철(전 밸류인베스트코리아 대표), 라임 사건 이런 것에 대해서는 팔로우업하지 못했던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이는 채널A 사건 관련 대화 내용도 녹취에 상당 부분 언급됐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한편 조씨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그동안 사업을 했던 여러 일들을 소개하며 “코로나 사태로 망해도 다시 일어선다는 일념으로 앱도 만들고 어쩌고 하면서 일 잘 준비해내가고 있다”면서 “저는 적어도 문화재 뭐 처리했다고 31살에 퇴직금 50억 받고 그런 일은 안했다”면서 곽상도 의원의 아들을 끌어들이기도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