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양극화 완화·투기억제 효과 장담
이낙연·박용진 “다르게 접근해야” 반박
윤희숙 “벚꽃잎처럼 세금 뿌리겠다는 것”
정의당 “민주당 기조와 정반대 유체이탈”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22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본소득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이 지사는 “차기 정부 임기 내 청년에게는 연 200만원, 그 외 전 국민에게 100만원의 기본소득을 지급하겠다”고 공약했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sno@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7/22/SSI_20210722174240_O2.jpg)
김명국 선임기자 dausno@seoul.co.kr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22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본소득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이 지사는 “차기 정부 임기 내 청년에게는 연 200만원, 그 외 전 국민에게 100만원의 기본소득을 지급하겠다”고 공약했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sno@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7/22/SSI_20210722174240.jpg)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22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본소득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이 지사는 “차기 정부 임기 내 청년에게는 연 200만원, 그 외 전 국민에게 100만원의 기본소득을 지급하겠다”고 공약했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sno@seoul.co.kr
김명국 선임기자 dausno@seoul.co.kr
임기 내에는 기본소득을 위한 증세 없이 기존 예산을 아껴 쓰되 국민 공감대가 확산되면 기본소득 목적세를 신설한다는 구상이다. 이 지사는 “기본소득은 증세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조세부담률을 올리고, 복지 지출을 늘리면서 양극화를 완화할 수 있는 실현 가능한 정책”이라며 “증세를 동반한 본격적 기본소득은 기본소득의 효용과 증세의 필요성을 국민께서 체감하고 동의한 후에야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대통령 직속 국가 기본소득위원회를 설치해 정책 공감대를 끌어내겠다고 밝혔다.
이 지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기본소득 목적세 도입이다. 국토보유세를 부과해 징수 전액을 기본소득 목적세로 돌리면 조세 저항을 상쇄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 지사는 “징수세 전액을 국민에게 균등지급하는 기본소득 목적세로 신설하면 80~90%의 국민이 내는 세금보다 받는 기본소득이 더 많다”며 “순 수혜자가 돼 조세 저항 최소화, 양극화 완화, 경제활성화, 투기억제 등의 복합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7/22/SSI_2021072217412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7/22/SSI_20210722174129.jpg)
민주당 경선후보들의 반응은 싸늘했다. 이낙연 전 대표는 “(청년 기본소득은) 청년 수당으로 불러야 한다. 기본소득으로 이름을 붙인 것은 정치적인 의도”라고 했다. ‘기본소득 저격수’로 나선 박용진 의원은 이날 전남도의회 기자회견에서 이 지사의 청년·농촌 기본소득에 대해 “수당은 업종이나 지역이나 연령에 따라 국가가 전략적인 판단에 따라 어떻게 도움을 줄 건지 접근하는 문제”라며 “이것을 이 지사처럼 기본소득으로 묶어서 가는 것은 안 된다”고 했다.
야권도 맹폭에 나섰다.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은 “막대한 재원을 어떻게 쓰겠다는 건지 계획을 보면, 이 지사가 나라를 직접 운영하시는 것은 무리이지 싶다”고 했다. 그러면서 “(기본소득 구상은) 말 그대로 ‘봄날 흩날리는 벚꽃잎처럼’ 세금을 뿌리시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의당 여영국 대표는 “이재명식 유체이탈 기본소득”이라며 “민주당이 2% 종합부동산세로 부자감세를 추진하고 있는 마당에 기본소득을 위한 국토보유세 1%는 민주당의 정책기조와 정반대”라고 일침했다. 이어 “국민의 팍팍한 삶에 비하면 기본소득이라 이름 붙이기도 민망한 너무 한가한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2021-07-2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