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철거 방식 아닌 소규모 생활밀착형 사업 추진” “지역주민 주도로 지역 특성 살리는 맞춤형 도시재생 지원”李총리, 사업추진 과정에서 ‘젠트리피케이션’ 없도록 당부
이낙연 국무총리는 25일 “도시재생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사안”이라고 말했다.![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서 발언하는 이낙연 총리](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9/25/SSI_20170925161231_O2.jpg)
![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서 발언하는 이낙연 총리](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9/25/SSI_20170925161231.jpg)
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서 발언하는 이낙연 총리
이낙연 국무총리가 25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도시재생특별위원회을 주재하고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총리는 “지난달 대전역 인근의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를 살펴보면서 이대로 방치하기가 어렵겠다는 것을 실감했다”고 덧붙였다.
이 총리는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기존의 대규모 철거 방식이 아니라 소규모 생활밀착형 사업을 중심으로 추진해서 지역 주민이 그 효과를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하자는 데 주안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역 주민이 주도해 지역 고유의 특성을 살리 수 있는 맞춤형 도시재생으로 추진하고 정부가 이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사업추진 과정에서 부동산 가격이나 임대료의 상승으로 인해 경제적 약자들이 내몰리는 이른바 젠트리피케이션이 없도록 세심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도시재생특별위원회는 그간 46개 도시재생 지역을 선정하고 활성화 계획을 수립해 우리나라 도시재생의 기틀을 마련했다”며 “핵심 국정과제이자 도시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관련 부처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날 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는 국토교통부·행정안전부·문화체육관광부·여성가족부 장관, 기획재정부·농림축산식품부·보건복지부 차관, 문화재청·산림청장 등 정부위원과 민간위원 13명이 참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