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출연한 10억엔, 화해치유재단 계좌에 입금 확인

日 출연한 10억엔, 화해치유재단 계좌에 입금 확인

입력 2016-09-01 10:56
수정 2016-09-01 1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화해·치유재단에 전날 송금한 10억엔(108억여원)이 1일 입금된 것으로 확인됐다.

재단 측은 전날 일본 측이 보낸 10억엔이 재단 계좌로 입금된 것을 최종 확인했다.

일본 측이 전날 송금했지만 금융 관련 기술적 절차 문제 때문에 입금 확인까지 하루가 소요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지난해 12월 28일 한일간 위안부 합의에 따라 일본 측이 해야 할 핵심 이행조치는 마무리됐다.

한일 양국은 위안부 합의에서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해 한국 정부가 재단을 설립하고, 일본 정부가 재단에 예산 10억엔을 일괄 거출해 양국 정부가 협력해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사업을 시행해 나가기로 한 바 있다.

화해·치유재단은 10억엔을 재원으로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46명)에 대해서는 1억원, 사망자(199명)에 대해서는 유족들에게 2천만원 규모의 현금을 분할지급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생존자는 현재 40명이지만 지난해 12월 28일 한일간 위안부 합의 타결 시 생존했다가 이후 사망한 6명에게도 생존자와 마찬가지로 1억원이 지급된다.

재단의 기본 지원대상은 위안부 피해자 245명으로, 정부에 공식 등록된 238명에다 대일항쟁위원회에서 피해자로 인정한 7명(사망자)을 포함한 숫자다.

전체 10억엔 가운데 약 80%는 피해자들에게 직접 현금으로 지급되고, 나머지 20%는 재단의 목적에 비춰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모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추모·기억 등 상징적 사업에 사용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