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로 정치적 결정 반대… 스냅사진 같아 조작 가능”

“여론조사로 정치적 결정 반대… 스냅사진 같아 조작 가능”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15-10-25 23:02
수정 2015-10-26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행 양성평등교육진흥원장

최근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등 총선 공천에 여론조사를 활용하는 문제를 놓고 정치권에서 논란이 빚어진 가운데 김행 양성평등교육진흥원장이 여성 월간지 ‘퀸’ 11월호 인터뷰에서 “여론조사로 정치적 결정을 내리는 것에 절대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김행 양성평등교육진흥원장
김행 양성평등교육진흥원장

여론조사 전문기자로서 우리나라 정치와 선거 분야에 여론조사를 통한 국민 여론의 반영을 선도했던 김 원장은 이번 인터뷰에서 여론조사에는 긍정적 측면 못지않게 부정적 측면도 적지 않다고 토로했다. 김 원장은 “여론조사는 (조사) 당시의 스냅사진과 같은 것으로, (수시로) 변해 지속적이지 못하며 정치적 목적으로 쓰면 얼마든지 조작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대의 민주주의의 근간인 정당은 특정한 정치적 이념과 철학을 갖고 특정 정책을 펼 정치인을 낼 테니 국민들이 뽑아 달라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데 여론조사가 이런 정당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든다”고 말했다.

2002년 대선 때 국민통합21 대변인으로서 여론조사를 통해 열린우리당 노무현 후보와 국민통합21 정몽준 후보의 단일화를 이뤘으나 선거일 직전 단일화를 파기한다는 발표를 직접 했던 김 원장은 이번 인터뷰에서 “여론조사가 정치적 목적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몰랐다는 걸 반성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로서의 여론조사는 과학으로서의 여론조사와 크게 다르고 위험하다.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면서 “정치적 목적이 옳다고 해도 잘못된 수단을 정당화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청와대 대변인으로 일할 때 가장 인상 깊었던 인물로 김용 세계은행 총재를 꼽았다. 김 총재가 2013년 박근혜 대통령을 예방해 절대빈곤 퇴치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보고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왜 그를 세계은행 수장자리에 앉혔는지를 알게 됐다는 것이다. 김 원장은 “김 총재의 열정적이고 진지하며 겸허한 설명을 듣고 나 역시 절대 빈곤의 현실에 책임 의식을 느끼게 됐고 내 인생의 좌표가 바뀌었다”면서 “리더가 해야 할 일이 뭔지 깨달았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이번 퀸 11월호에 인터뷰뿐 아니라 표지모델로도 나섰다. 그는 25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공직자가 여성지 표지모델로 나선 것은 이례적인 것 같다’는 질문에 “표지모델로 연예인만 등장해야 한다는 것은 과거의 고정관념”이라며 “나처럼 평범한 사람도 여성지 표지모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어려운 결심을 했다”고 답했다.

김상연 기자 carlos@seoul.co.kr
2015-10-26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