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 79명 서명…이종걸 “당론 채택시 평가위 효력 없어져”주류측 “물갈이 피하려 평가위 무력화 시도” 비판 속 전운고조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가 17일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정책의총을 다음주에 소집키로 했다.문재인 대표가 진통끝에 선출직공직자 평가위원장 인선을 마무리한 가운데 오픈프라이머리 도입파들은 이 제도가 당론으로 채택될 경우 평가위원회 자체가 존립 근거를 잃게 된다는 주장을 펴고 있어 내부 충돌을 예고하고 있다.
현역 물갈이 국면이 본격화되자마자 평가위 존치 여부를 놓고 계파간 갈등이 전면전으로 비화할 조짐까지 나타나고 있다.
이번 논란은 최규성 의원이 의원들에게 오픈프라이머리 법제화를 요구하는 서명을 받아, 이를 법안과 함께 원내대표에게 전달하면서 촉발됐다.
해당 법안에는 5대범죄(살인·강간·강도·절도·폭력) 전과자를 제외하고는 당원 누구나 자유롭게 완전국민경선에 나설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으며, 이해찬 전 대표나 안철수 전 대표 등 계파를 불문하고 79명이 서명에 동참했다.
16일 조은 동국대 명예교수가 평가위원장으로 임명되긴 했지만, 의원 과반이 의총 소집 요구를 한 만큼, 응할 수밖에 없다는 게 이 원내대표의 설명이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다수 의원들이 선거과 관련된 중요 사항을 두고 의총을 열어달라고 요구하는 만큼, 다음 주 정책의총을 열어 논의할 생각”이라며 “교과서 투쟁도 진행 중이지만 더 미룰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오픈프라이머리가 (여야 협상을 통해) 법제화되기 이전이라도 당론으로 정해질 경우에는 평가위는 효력이 없어진다고 봐야 할 것”이라며 “현재로서 의총 결론이 어떻게 날지 는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평가위의 평가결과 하위 20%에 해당하는 현역의원들을 배제하고서 오픈프라이머리를 진행할 수는 없느냐는 질문에는 “자격심사 외에는 당이 (현역평가를 통한 배제 등) 어떤 것에도 관여해서는 안된다는 점에는 이론이 없는 것 같다”고 병행불가 의견을 밝혔다.
그는 “오픈프라이머리가 당론화가 되면 평가위가 의미가 없어진다는 점에 대해서는 문 대표도 이견이 없는 것 같다”고도 주장했다.
그러나 반대편에서는 “오픈프라이머리 법제화 가능성이 불투명한 상황을 감안할 때 평가위 자체를 무력화하려는 시도”, “물갈이를 피하려는 꼼수”라며 반발하고 있다.
문 대표 측 인사는 “지금 와서 평가위를 무력화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이미 새누리당이 (안심번호제 국민공천제)를 거부하지 않았나. (법제화가 되지 않고서 당론 채택 만으로) 평가를 안할 수는 없다”고 반박했다.
최근 비공개 최고위원회에서 이 문제가 논의됐을 때에도 문 대표는 “(여당이 거부했는데 법제화가) 되겠느냐. 지금은 당헌당규대로 평가위원장을 인선하자”는 입장을 밝혔다고 이 인사는 전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지금 상황에서 이 주장을 꺼내는 의도가 뻔히 보인다. 의총을 열어봤자 제대로 되겠느냐”며 “서명에 동참한 사람들도 인정에 이끌렸거나, 본인이 물갈이될까봐 두려워서 참여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