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이념적 편향성’ 성토
새누리당은 16일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인터넷 포털 뉴스의 공정성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긴급 정책토론회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했다. 사이비 언론이 마음껏 활개 칠 수 있는 ‘놀이터’로 전락해버린 대형 포털에 메스를 들이댄다는 취지였다. 토론회는 ‘포털 뉴스의 오늘과 내일’이라는 제목으로 여의도연구원과 이재영 의원 공동 주최로 열렸다.참석자들은 일제히 ‘공룡’이 돼버린 포털의 ‘이념적 편향성’에 대해 십자포화를 가했다. 그러면서 대기업답게 ‘사회적 책임’을 질 것을 요구했다. 김무성 대표는 “(포털이) 악마의 편집을 통해 진실을 호도하고 왜곡·과장된 기사를 확대 재생산함으로써 또 하나의 기울어진 운동장을 만들고 있다”면서 “기사 반복 전송과 낚시 기사 등 사이비 언론의 저질기사 난립이 심각하다”고 했다. 또 “네이버는 시가총액 15조원, 다음카카오는 7조원대 대기업인 만큼 그에 상응하는 사회적 책임도 져야 한다”고 했다.
박민식 의원도 “대형 포털은 중소 벤처 회사가 아니다. 인터넷에서는 삼성이나 현대차와 같은 대재벌”이라고 했다.
허승호 한국신문협회 사무총장은 “포털이 어떤 기준과 원칙으로 뉴스 편집을 하는지 알고리즘이 공개돼야 한다”면서 “가능하면 자율 규제로 가야 한다. 법제화를 서두를 경우 예상치 못한 반발과 정치적 논란이 야기될 위험이 있다”고 했다.
포털이 언론 생태계 자체에 미치는 악영향에 초점을 둬야 근본적 해결이 가능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규섭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포털의 이념 편향성 문제로 몰고 가면 언론 자율 규제로 해결할 수 있으니 오히려 포털이 유리해진다”면서 “적은 인력으로 남이 쓴 기사를 베끼는 것을 수익 모델로 계속 영업을 해 나가는 유통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일반 대기업처럼 상생 유통 구조를 만드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당초 참석이 예정됐던 네이버와 다음카카오 관계자들이 꽁무니를 빼면서 해명은 들을 수 없었다. 네이버 유봉석 네이버 미디어플랫폼 센터장과 다음카카오 이병선 이사는 전날 돌연 불참을 통보했다. 새누리당이 포털을 ‘수술대’에 올려놓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한 가운데 토론회가 포털을 상대로 한 ‘청문회’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자 두 대형 포털 관계자들이 참석을 고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5-09-17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