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노사정 ‘4자 협의체’ 제안도
새누리당은 24일 노정(勞政)간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는 철도노조 파업에 대한 원칙적 대응 의지를 거듭 강조하며 정부에 힘을 실었다.특히 경찰의 철도노조 지도부 검거 방식을 비판한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3년에는 경찰의 조기 투입을 주장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견지했던 점을 상기시키면서 일제히 ‘말 바꾸기’라고 몰아붙였다.
이는 철도개혁 작업이 옛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이미 시작됐다는 점을 부각시킴으로써 이념 진영에 따라 갈린 찬반 구도를 깨뜨리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은 아울러 이날 새벽 “철도 민영화 주장은 괴담”이라는 내용을 담은 ‘늑대가 나타났다’는 제목의 긴급 당보 12만여부를 제작해 전국 당협위원회에 배포했다. 근거없는 루머성 정보에 적극 대처해 대국민 여론전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취지로 받아들여진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주당은 과거 철도청을 공사로 전환한 철도개혁의 원조 정당”이라면서 “불과 몇 년 사이 입장을 180도 바꾸고 노조에 부화뇌동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홍문종 사무총장은 “한국공항공사는 코레일처럼 방만 경영으로 악명이 높았지만, 뼈를 깎는 자구책으로 세계 최고의 공항을 만들었다”면서 “수서발 KTX의 자회사 설립 이유도 같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출퇴근 열차가 오지 않고, 화물열차도 멈춰섰다”면서 “국가경제의 피해를 막고 승객 안전을 고려해 철도노조의 파업열차를 당장 멈추라”고 촉구했다.
윤 수석은 또 “문 의원은 과거 ‘불법파업은 대화와 타협의 여지가 전혀 없다. 대화로 해결돼도 불법 행위에는 사후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했는데 그때그때 말이 달라져서는 안 된다”고 꼬집었다.
국회 환경노동위 새누리당 간사인 김성태 의원은 “대통령과 정부의 말을 믿지 못한다면 국회가 나서겠다”면서 “철도 노사와 장관을 국회에 출석시켜 민영화를 하지 않겠다는 국민적 담보를 확보하자”고 제안했다.
국회와 노사정이 ‘4자 협의체’를 구성해 파업 사태를 풀자는 것이다.
심재철 최고위원은 평화방송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금의 코레일과 자회사를 서로 경쟁시켜 효율을 높이자는 것”이라면서 “불법적인 파업을 그대로 적당히 눈 감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