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민영화 금지조항 법제화는 무리한 주장” 홍영표 “법적 장치 만들면 파업 중단할 수 있을 것”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김성태, 민주당 홍영표 의원은 24일 철도파업 사태의 해법을 놓고 날선 장외공방을 벌였다.두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잇따라 출연, 철도노조 간부 체포를 위한 경찰의 민주노총 사무실 강제진입과 파업 해결책을 두고 맞붙었다.
김 의원은 경찰이 체포영장만을 갖고 민주노총 사무실에 진입했다는 지적에 대해 “절차적 정당성은 경찰에서도 법적인 검토를 충분히 마치고 했을 것”이라면서도 “경찰 입장에서도 좀 더 정부와 소통·대화가 이뤄지는 측면의 시간적 여유를 가질 필요도 있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은 분명히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민주당의 민영화 금지 법제화 요구에 대해서는 “무리한 주장”이라며 “국가기간산업인 철도를 민영화하지 않겠다는 법조문이 있는 국가는 없다”고 일축했다.
또 “민영화는 국가 기간산업 운영에 대한 효율성의 문제”라며 “법으로 민영화하지 않겠다는 것은 자유시장 경쟁체제에서 있을 법한 얘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홍 의원은 철도노조 파업이 박근혜정부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됐다면서 “정부가 정말 민영화 의지가 없다면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반박했다.
홍 의원은 “박 대통령이 대선후보 시절 ‘철도를 민영화하지 않겠다’고 했는데 이렇게 자회사 경쟁체제로 가는 것은 그 전 단계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면서 “민주당에서 제시한대로 법적 장치를 만들면 오늘이라도 철도노조가 파업을 중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을 폈다.
경찰의 민주노총 건물 진입에 대해서도 “민주주의 근본을 흔드는 행위”라며 “명백한 불법으로 정당성을 가질 수 없다”고 비판했다.
두 의원은 다만 이번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치력의 부재와 고용노동부의 안이한 대응은 한 목소리로 질타했다.
김 의원은 “철도노조와 정부 간의 불신의 벽이 높다”고 우려하면서 “고용노동부는 어떤 경우에도 철도노조와 대화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되는데 협상조정 중재를 위한 어떤 노력이 없었다는 것은 비판받아 마땅하다”고 말했다.
특히 “노조 간부들이 면담을 요청하기 전에 고용부 장관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 의원도 “헌법이 보장하는 노동자들의 기본권을 가장 잘 지키도록 해야 하는 고용노동부가 뒷짐을 지고 있다”며 대화와 소통, 중재를 촉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